미숙아 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72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13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미숙아의 정의 ==
== 미숙아의 정의 ==
미숙아는 임신 나이 37주 미만에 태어난 신생아를 말하며, 출생 시 체중에 따라 2,500g 미만을 저출생체중아 (LBWI; low birth weight infant), 1,500g 미만을 극소 저출생체중아 (VLBWI; very low birth weight infant), 1,000g 미만은 초극소 저출생체중아(ELBWI;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라고 한다. 임신 나이 또는 재태 연령은 마지막 월경 시작한 날로부터 출생일까지를 말하며, 월경후 연령은 임신 나이에 출생 후 기간을 합산한 기간을 뜻한다. 예를 들어 임신 나이 26주에 출생한 아이가 출생 후 5주가 지났으면 월경후 연령은 31주이다.
미숙아는 임신 나이 37주 미만에 태어난 신생아를 말하며, 출생 시 체중에 따라 2,500g 미만을 저출생체중아 (LBWI; low birth weight infant), 1,500g 미만을 극소 저출생체중아 (VLBWI; very low birth weight infant), 1,000g 미만은 초극소 저출생체중아(ELBWI;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라고 한다. 임신 나이 또는 재태 연령은 마지막 월경 시작한 날로부터 출생일까지를 말하며, 월경후 연령은 임신 나이에 출생 후 기간을 합산한 기간을 뜻한다. 예를 들어 임신 나이 26주에 출생한 아이가 출생 후 5주가 지났으면 월경후 연령은 31주이다.
== 역학 ==
소아 실명의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가장 직접적인 위험인자는 신생아의 출생 시 임산 나이(GA, gestational age)와 출생 체중이다. CRYO-ROP 연구에서는 출생 시 체중과 임신 나이가 적을수록 발생률이 더 높고 정도가 심하며 진행도 빠르다는 것을 보고히였다. CRYO-ROP 연구에서 32주 이후에 태어난 영아는 미숙아 망막병증이 거의 빌생하지 않았으나 28~31주에 출생한 영아의 60%, 28주 전에 태어난 영아의 거의 80%에서 발생하였다. 출생 시 체중이 1,500g 이싱인 영아에서는 stage 3 이상의 미숙아 망막병증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750g 이하의 영아는 1,000g에서 1,250g 사이의 몸무게를 가진 영아보다 미숙아 망막증이 두 배 더 많이 발생하며 치료가 필요한 심한 망막증(threshold) 의 발생 비 율은 7배 더 높았다 출생 후 초기의 체중 증가 속도가 미숙아 망막병증이 발생할 위험도 및 치료가 필요한 고위험군의 망막증 발생 위험도와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다는 연구도 있다.
가장 직접적인 위험인자는 신생아의 출생 시 임산 나이(GA, gestational age)와 출생 체중이다. CRYO-ROP 연구에서는 출생 시 체중과 임신 나이가 적을수록 발생률이 더 높고 정도가 심하며 진행도 빠르다는 것을 보고히였다. CRYO-ROP 연구에서 32주 이후에 태어난 영아는 미숙아 망막병증이 거의 빌생하지 않았으나 28~31주에 출생한 영아의 60%, 28주 전에 태어난 영아의 거의 80%에서 발생하였다. 출생 시 체중이 1,500g 이싱인 영아에서는 stage 3 이상의 미숙아 망막병증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750g 이하의 영아는 1,000g에서 1,250g 사이의 몸무게를 가진 영아보다 미숙아 망막증이 두 배 더 많이 발생하며 치료가 필요한 심한 망막증(threshold) 의 발생 비 율은 7배 더 높았다 출생 후 초기의 체중 증가 속도가 미숙아 망막병증이 발생할 위험도 및 치료가 필요한 고위험군의 망막증 발생 위험도와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다는 연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