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니케 뇌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34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13일 (일)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베르니케 뇌병증 (Wernicke's encephalopathy)'''{{신경안과}} 은 티아민 (thiamine; 비타민 B<sub>1</sub>) 결핍으로 인한 급성 신경학적 질환을 말한다. 임상 양상의 발현 정도가 다양하여 병원에서 진단되는 것보다 실제로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베르니케 뇌병증 (Wernicke's encephalopathy)'''{{신경안과}} 은 티아민 (thiamine; 비타민 B<sub>1</sub>) 결핍으로 인한 급성 신경학적 질환을 말한다. 임상 양상의 발현 정도가 다양하여 병원에서 진단되는 것보다 실제로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 티아민 ==
== 티아민 ==
수용성 비타민의 한 종류로 탄수화물과 아미노산의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조효소로 사용되며 에너지 대사에 반드시 필요한 물질로 신경의 수초 형성과 신경전달물질 생성에 필수적이다<ref>Kumar N. Neurologic presentations of nutritional deficiencies. ''Neurol Clin''. 2010 Feb;28(1):107-70. [https://pubmed.ncbi.nlm.nih.gov/19932379/ 연결]</ref>. 티아민은 인체 내에서 합성이 되지 않기에 음식을 통한 섭취가 필요한데<ref>Holub BJ. 1982 Borden Award lecture. Nutritional, biochemical, and clinical aspects of inositol and phosphatidylinositol metabolism. ''Can J Physiol Pharmacol''. 1984 Jan;62(1):1-8. [https://pubmed.ncbi.nlm.nih.gov/6713271/ 연결]</ref>, 효모, 콩, 돼지 고기, 쌀 및 곡물에 풍부하며 유제품, 과일과 채소에는 함량이 적다<ref>Tanphaichitr V. Thiamin. In: Shils M, Olson JA, Shike M, Ross AC, eds.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9th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99;381.</ref>. 일반적으로 티아민 섭취 부족이 2~3주간 지속되면 체내에 티아민이 부족해지며 혈중 티아민 농도가 감소한다고 알려졌다.
수용성 비타민의 한 종류로 탄수화물과 아미노산의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조효소로 사용되며 에너지 대사에 반드시 필요한 물질로 신경의 수초 형성과 신경전달물질 생성에 필수적이다<ref>Kumar N. Neurologic presentations of nutritional deficiencies. ''Neurol Clin''. 2010 Feb;28(1):107-70. [https://pubmed.ncbi.nlm.nih.gov/19932379/ 연결]</ref>. 티아민은 인체 내에서 합성이 되지 않기에 음식을 통한 섭취가 필요한데<ref>Holub BJ. 1982 Borden Award lecture. Nutritional, biochemical, and clinical aspects of inositol and phosphatidylinositol metabolism. ''Can J Physiol Pharmacol''. 1984 Jan;62(1):1-8. [https://pubmed.ncbi.nlm.nih.gov/6713271/ 연결]</ref>, 효모, 콩, 돼지 고기, 쌀 및 곡물에 풍부하며 유제품, 과일과 채소에는 함량이 적다<ref>Tanphaichitr V. Thiamin. In: Shils M, Olson JA, Shike M, Ross AC, eds.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9th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99;381.</ref>. 일반적으로 티아민 섭취 부족이 2~3주간 지속되면 체내에 티아민이 부족해지며 혈중 티아민 농도가 감소한다고 알려졌다<ref>Schenker S et al. Hepatic and Wernicke's encephalopathies : current concepts of pathogenesis. ''Am J Clin Nutr''. 1980 Dec;33(12):2719-26. [https://pubmed.ncbi.nlm.nih.gov/6108071/ 연결]</ref><ref>Leevy CM. Thiamin deficiency and alcoholism. ''Ann N Y Acad Sci''. 1982;378:316-26. [https://pubmed.ncbi.nlm.nih.gov/7044226/ 연결]</ref>.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