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임상 소견) |
잔글 (→임상 소견)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만성 알코올 중독, 위 절제술, 장기간의 정맥내 영양, 임신 입덧, 신경성 식욕 부진, 만성 신부전 등이다. | 만성 알코올 중독, 위 절제술, 장기간의 정맥내 영양, 임신 입덧, 신경성 식욕 부진, 만성 신부전 등이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대표적인 3징후는 다음과 같았으며, 진단 당시 모두 나타난 경우는 19%에 불과했다. | |||
* 의식 변화 (82%) : 경미하게 단기기억상실, 집중력 저하, 인지 기능 저하부터 혼미, 섬망, 의식소실, 정신병적인 양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혼수 상태에까지 이를 수 있다<ref>Wallis WE et al. Coma in the Wernicke-Korsakoff syndrome. ''Lancet''. 1978 Aug 19;2(8086):400-1. [https://pubmed.ncbi.nlm.nih.gov/79763/ 연결]</ref>. | |||
* 보행 실조 | |||
* 눈운동 장애 | |||
안과적 증상은 약 30%의 환자에서 나타나는데 눈떨림, 외안근의 마비, 주시마비가 나타나고 이는 뇌교, 뇌피개 (pontine tegmentum), 동안신경핵, 외전신경핵의 병변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생각한다<ref>Victor M. The Wernicke-Korsakoff syndrome. In: Vinken PJ, Bruyn GW, eds. 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Amsterdam:North-Holland Publishing Company, 1976; v. 28. part II:24370</ref>. 증상 중 수평 눈떨림이 가장 흔하여 85%에서 나타나며 두 눈 외직근 마비가 약 54%, 동향 주시마비가 약 45%에서 나타나고 드물게 전체 외안근 마비가 나타난다<ref>Reuler JB et al. Current concepts. Wernicke's encephalopathy. ''NEJM''. 1985 Apr 18;312(16):1035-9. [https://pubmed.ncbi.nlm.nih.gov/3885034/ 연결]</ref>. 이외에도 대광반사의 감소, 동공 부등, 불빛-근접반사 해리 (light-near dissociation) 가 관찰될 수 있으며<ref>Kulkarni S et al. You are what you eat. ''Surv Ophthalmol''. 2005 Jul-Aug;50(4):389-93. [https://pubmed.ncbi.nlm.nih.gov/15967192/ 연결]</ref> 드물게 시각 경로의 뇌부종<ref>Desai SD et al. Atypical Wernicke's syndrome sans encephalopathy w acute bilateral vision loss due to post-chiasmatic optic tract edema. ''Ann Indian Acad Neurol''. 2014 Jan;17(1):103-5. [https://pubmed.ncbi.nlm.nih.gov/24753673/ 연결]</ref>, 시신경유두 부종, 망막 출혈로 시력이 떨어지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다<ref>Cooke CA et al. An atypical presentation of Wernicke's encephalopathy in an 11yo child. ''Eye (Lond)''. 2006 Dec;20(12):1418-20. [https://pubmed.ncbi.nlm.nih.gov/16470217/ 연결]</ref>. | 안과적 증상은 약 30%의 환자에서 나타나는데 눈떨림, 외안근의 마비, 주시마비가 나타나고 이는 뇌교, 뇌피개 (pontine tegmentum), 동안신경핵, 외전신경핵의 병변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생각한다<ref>Victor M. The Wernicke-Korsakoff syndrome. In: Vinken PJ, Bruyn GW, eds. 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Amsterdam:North-Holland Publishing Company, 1976; v. 28. part II:24370</ref>. 증상 중 수평 눈떨림이 가장 흔하여 85%에서 나타나며 두 눈 외직근 마비가 약 54%, 동향 주시마비가 약 45%에서 나타나고 드물게 전체 외안근 마비가 나타난다<ref>Reuler JB et al. Current concepts. Wernicke's encephalopathy. ''NEJM''. 1985 Apr 18;312(16):1035-9. [https://pubmed.ncbi.nlm.nih.gov/3885034/ 연결]</ref>. 이외에도 대광반사의 감소, 동공 부등, 불빛-근접반사 해리 (light-near dissociation) 가 관찰될 수 있으며<ref>Kulkarni S et al. You are what you eat. ''Surv Ophthalmol''. 2005 Jul-Aug;50(4):389-93. [https://pubmed.ncbi.nlm.nih.gov/15967192/ 연결]</ref> 드물게 시각 경로의 뇌부종<ref>Desai SD et al. Atypical Wernicke's syndrome sans encephalopathy w acute bilateral vision loss due to post-chiasmatic optic tract edema. ''Ann Indian Acad Neurol''. 2014 Jan;17(1):103-5. [https://pubmed.ncbi.nlm.nih.gov/24753673/ 연결]</ref>, 시신경유두 부종, 망막 출혈로 시력이 떨어지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다<ref>Cooke CA et al. An atypical presentation of Wernicke's encephalopathy in an 11yo child. ''Eye (Lond)''. 2006 Dec;20(12):1418-20. [https://pubmed.ncbi.nlm.nih.gov/16470217/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