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전기 눈떨림 검사 (electronystagmography; ENG) 의 주된 목적은 눈떨림이 있을 때 눈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눈운동을 시간대별로 도식화...)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전기 눈떨림 검사 (electronystagmography; ENG) 의 주된 목적은 눈떨림이 있을 때 눈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눈운동을 시간대별로 도식화하여 기록함으로써 눈떨림 방향과 진폭, 주파수 등을 분석하여 정확하게 눈떨림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정지 구역이나 중화 구역을 발견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정지점으로 제일 눈위치를 옮기는 수술을 할 수 있다. 마비 사시에서는 신속 운동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마비근을 확진하고 마비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 '''전기 눈떨림 검사 (electronystagmography; ENG)'''{{안과검사}} 의 주된 목적은 눈떨림이 있을 때 눈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눈운동을 시간대별로 도식화하여 기록함으로써 눈떨림 방향과 진폭, 주파수 등을 분석하여 정확하게 눈떨림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정지 구역이나 중화 구역을 발견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정지점으로 제일 눈위치를 옮기는 수술을 할 수 있다. 마비 사시에서는 신속 운동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마비근을 확진하고 마비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각막과 망막의 대사율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전기장을 눈 주위에 부착된 전극을 통하여 전기 신호로 받아 기록하는 것으로, 눈 주위 피부에 전극을 부착시킨 후 눈운동으로 발생되는 탈분극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시간대별로 눈운동 진폭을 도식화한다. 이는 직접 외안근에서 나오는 신호를 포착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눈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눈떨림의 저속기 속도가 3˚/초 이하이면 육안으로 식별이 곤란하나 ENG는 2~3˚/초 정도의 눈떨림도 기록할 수 있다.<br />눈의 오른쪽 운동은 아래쪽으로 기록되며 위쪽 눈운동은 수직 채널에서 위쪽으로, 아래쪽 눈운동은 아래쪽으로 기록된다. 눈떨림은 고속기와 저속기의 구분 없이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시계추형과 고속기와 저속기가 구분되는 된눈떨림형으로 나뉜다. 된눈떨림은 [[영아 눈떨림]]에서 볼 수 있는 증속형과 [[잠복 눈떨림]]이나 [[주시 유발 눈떨림]]에서 볼 수 있는 감속형이 있으며 전정 눈떨림에서는 저속기 속도가 일정한 직선형으로 나타난다. | 각막과 망막의 대사율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전기장을 눈 주위에 부착된 전극을 통하여 전기 신호로 받아 기록하는 것으로, 눈 주위 피부에 전극을 부착시킨 후 눈운동으로 발생되는 탈분극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시간대별로 눈운동 진폭을 도식화한다. 이는 직접 외안근에서 나오는 신호를 포착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눈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눈떨림의 저속기 속도가 3˚/초 이하이면 육안으로 식별이 곤란하나 ENG는 2~3˚/초 정도의 눈떨림도 기록할 수 있다.<br />눈의 오른쪽 운동은 아래쪽으로 기록되며 위쪽 눈운동은 수직 채널에서 위쪽으로, 아래쪽 눈운동은 아래쪽으로 기록된다. 눈떨림은 고속기와 저속기의 구분 없이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시계추형과 고속기와 저속기가 구분되는 된눈떨림형으로 나뉜다. 된눈떨림은 [[영아 눈떨림]]에서 볼 수 있는 증속형과 [[잠복 눈떨림]]이나 [[주시 유발 눈떨림]]에서 볼 수 있는 감속형이 있으며 전정 눈떨림에서는 저속기 속도가 일정한 직선형으로 나타난다.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조정 (calibration) == | == 조정 (calibration) == | ||
ENG 표적 신호와 눈 움직임 전기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맞추는 것으로 눈움직임 1˚는 표적 1mm 비율로 환산된다. 땀으로 인하여 조정치가 수시로 변하지 않도록 눈 주위 피부를 깨끗이 닦아 피부와 전극 사이의 저항을 줄인다. 수평 눈운동을 측정할 때는 내안각과 외안각 가까이, 수직 눈운동을 측정할 때는 눈썹 위와 아랫눈꺼풀에 각각 전극을 부착한다. 만약 검사 도중 전극이 떨어져서 다시 붙이는 경우에는 새로 조정해야 한다. | ENG 표적 신호와 눈 움직임 전기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맞추는 것으로 눈움직임 1˚는 표적 1mm 비율로 환산된다. 땀으로 인하여 조정치가 수시로 변하지 않도록 눈 주위 피부를 깨끗이 닦아 피부와 전극 사이의 저항을 줄인다. 수평 눈운동을 측정할 때는 내안각과 외안각 가까이, 수직 눈운동을 측정할 때는 눈썹 위와 아랫눈꺼풀에 각각 전극을 부착한다. 만약 검사 도중 전극이 떨어져서 다시 붙이는 경우에는 새로 조정해야 한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