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9
번
잔글 (→종류)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rowspan=2|종류 | !rowspan=2|종류 | ||
!colspan=2|Molteno | |||
!colspan=2|Baerveldt | |||
!colspan=2|Ahmed | |||
|- | |-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 인위적으로 섬모체 해리 틈새를 만들어주고 장치를 삽입하여 전방으로부터 맥락막위 공간으로 방수를 유출하는 장치 === | === 인위적으로 섬모체 해리 틈새를 만들어주고 장치를 삽입하여 전방으로부터 맥락막위 공간으로 방수를 유출하는 장치 === | ||
윤부의 절개가 필요 없고, 관의 노출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방 출혈의 빈도가 높고 관의 위치가 잘못되어 각막 내피에 닿아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술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 윤부의 절개가 필요 없고, 관의 노출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방 출혈의 빈도가 높고 관의 위치가 잘못되어 각막 내피에 닿아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술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 ||
== 적응증 == | == 적응증 == | ||
녹내장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 일반적으로 일차적 방법으로 사용되지는 않으며, 고식적인 여과 수술 방법으로 예후가 매우 나쁜 녹내장, 즉 심한 [[신생혈관 녹내장]], 급성 포도막염으로 인한 이차 녹내장, 무수정체안이나 인공수정체안에서의 녹내장, [[전층 각막 이식]]이나 공막 돌륭술 후 발생한 녹내장, 심한 결막의 반흔을 동반한 녹내장 등에서 일차적 방법으로 많이 사용된다. | 녹내장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 일반적으로 일차적 방법으로 사용되지는 않으며, 고식적인 여과 수술 방법으로 예후가 매우 나쁜 녹내장, 즉 심한 [[신생혈관 녹내장]], 급성 포도막염으로 인한 이차 녹내장, 무수정체안이나 인공수정체안에서의 녹내장, [[전층 각막 이식]]이나 공막 돌륭술 후 발생한 녹내장, 심한 결막의 반흔을 동반한 녹내장 등에서 일차적 방법으로 많이 사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