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장점)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전방각 절개술 (goniotomy) 은 | '''전방각 절개술 (goniotomy)'''{{녹내장}} 은 전방각을 관찰할 수 있는 전방각경이 입상적으로 이용되면서 Barkan에 의해 1938년에 처음 시도되었다.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아직 선천녹내장에서 전방각의 해부학적 특징이 잘 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방각 절개술이 어떻게 안압을 하강시키는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방수 유출을 막는 조직을 제거하여 방수가 쉴렘관으로 용이하게 유출되게 하여 안압을 조절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 아직 선천녹내장에서 전방각의 해부학적 특징이 잘 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방각 절개술이 어떻게 안압을 하강시키는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방수 유출을 막는 조직을 제거하여 방수가 쉴렘관으로 용이하게 유출되게 하여 안압을 조절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전방 출혈 : 거의 대부분에서 나타나지만 일시적이고 대개 수술 후 3일 이내에 흡수된다. 수술 후 2일 내에 더 증가할 수가 있는데 어린아이가 심하게 울어서 혈류의 역류에 의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보호자의 협조가 필요하고 가능한한 근육 주사는 피하는 것이 좋다. | * 전방 출혈 : 거의 대부분에서 나타나지만 일시적이고 대개 수술 후 3일 이내에 흡수된다. 수술 후 2일 내에 더 증가할 수가 있는데 어린아이가 심하게 울어서 혈류의 역류에 의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보호자의 협조가 필요하고 가능한한 근육 주사는 피하는 것이 좋다. | ||
* 이외에도 홍채 해리, 섬모체 해리, 주변 홍채앞 유착, 이차 백내장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 이외에도 홍채 해리, 섬모체 해리, 주변 홍채앞 유착, 이차 백내장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