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망막 해면 혈관종 (retinal cavernous hemangioma) 은 10대나 20대에 전신 증상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모반증의 일환으로 나타날...)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망막 해면 혈관종 (retinal cavernous hemangioma) 은 10대나 20대에 전신 증상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모반증]]의 일환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양을 보이는 환자는 피부 혹은 중추신경계 병변에 대한 평가가 | ''망막 해면 혈관종 (retinal cavernous hemangioma)'' 은 양성 혈관 종양으로 10대나 20대에 전신 증상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모반증]]의 일환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양을 보이는 환자는 피부 혹은 중추신경계 병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6.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주변부 망막에 홀로 붉푸른 색의 고착성 정맥류 병변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 주변부 망막에 홀로 붉푸른 색의 고착성 정맥류 병변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시신경 유두 주변에 나타나기도 한다. [[망막 모세혈관종]]과는 달리 망막 삼출은 심하지 않다. 큰 망막 정맥을 따라 분포하며, 하얀 섬유교세포 조직이 흔히 동반된다. | ||
== | |||
대부분의 경우 비교적 안정적이므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 안저 소견 상 위쪽에는 혈장이 고이고 아래쪽으로는 적혈구가 가라앉아 있는 양상이, FA에서는 형광 물질이 위쪽에만 고이는 양상으로 나타나며, 이는 해면 혈관종에서 특징적인 소견이다. | ||
== 치료 == | |||
대부분의 경우 비교적 안정적이므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레이저 광응고]]나 냉동술을 시행할 수는 있으나 아직 주된 치료로 확립된 것은 아니다. | |||
== | == 합병증 == | ||
흔한 합병증은 이차성 교세포 증식과 유리체-망막 견인에 의하며,크기가 큰 경우 드물게 유리체 출혈이나 망막박리가 발생할 수도 있다6. | |||
{{참고}} | |||
흔한 합병증은 이차성 교세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