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해면 혈관종: 두 판 사이의 차이

229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14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망막 해면 혈관종 (retinal cavernous hemangioma)'' 은 양성 혈관 종양으로 10대나 20대에 전신 증상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모반증]]의 일환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양을 보이는 환자는 피부 혹은 중추신경계 병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6.
'''망막 해면 혈관종 (retinal cavernous hemangioma)'''{{망막}} 은 양성 혈관 종양으로 10대나 20대에 전신 증상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모반증]]의 일환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양을 보이는 환자는 피부 혹은 중추신경계 병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ref name=r2>Heimann H et al. Congenital vascular malformations of the retina and choroid. ''Eye (Lond)''. 2010 Mar;24(3):459-67. [https://pubmed.ncbi.nlm.nih.gov/20019761/ 연결]</ref>.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주변부 망막에 홀로 붉푸른 색의 고착성 정맥류 병변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시신경 유두 주변에 나타나기도 한다. [[망막 모세혈관종]]과는 달리 망막 삼출은 심하지 않다. 큰 망막 정맥을 따라 분포하며, 하얀 섬유교세포 조직이 흔히 동반된다.
주변부 망막에 홀로 붉푸른 색의 고착성 정맥류 병변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시신경 유두 주변에 나타나기도 한다. [[망막 모세혈관종]]과는 달리 망막 삼출은 심하지 않다. 큰 망막 정맥을 따라 분포하며, 하얀 섬유교세포 조직이 흔히 동반된다.
7번째 줄: 7번째 줄:
대부분의 경우 비교적 안정적이므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레이저 광응고]]나 냉동술을 시행할 수는 있으나 아직 주된 치료로 확립된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경우 비교적 안정적이므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레이저 광응고]]나 냉동술을 시행할 수는 있으나 아직 주된 치료로 확립된 것은 아니다.
== 합병증 ==
== 합병증 ==
흔한 합병증은 이차성 교세포 증식과 유리체-망막 견인에 의하며,크기가 큰 경우 드물게 유리체 출혈이나 망막박리가 발생할 수도 있다6.
흔한 합병증은 이차성 교세포 증식과 유리체-망막 견인에 의하며,크기가 큰 경우 드물게 유리체 출혈이나 망막박리가 발생할 수도 있다<ref name=r2 />.
{{참고}}
{{참고}}
[[분류:망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