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 유두 흑색세포종: 두 판 사이의 차이

128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14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Smile님이 시신경 유두 흑색 세포종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시신경 유두 흑색세포종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시신경 유두 흑색 세포종 (optic disc melanocytoma)
'''시신경 유두 흑색세포종 (optic disc melanocytoma)'''{{망막}} 은 멜라닌세포 종양의 변종이며, 전형적으로 시신경 유두 위에 위치한다.
== 역학 ==
== 유전 ==
유색 인종에서도 많이 발견된다.
선천적이며 비유전성으로 여겨진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주로 단안에 암갈색에서 검은색의 종양으로 나타나며, 약 24%에서는 시각 증상이 발생하고, 9%에서는 구심성 동공 반사 이상을 보일 수 있다.
99%에서 단안에 발생하여, 짙은 갈색의 종양으로,24%에서 시각 증상이 발생한다. 자발적 괴사가 일어나는 경향이 있고, 이 경우 심각한 시력 손상이 생길 수 있다.
== 검사 및 진단 ==
FA에서 특징적으로 전 시기에 걸쳐 저형광 소견을 보이지만, 시신경 유두 부종이나 [[망막 색소상피]] 위축에 의한 과형광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것이 악성 종양과의 감별에 가치는 없다.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악성 흑생종과 혼동되기 쉬우며, 임상 양상이 감별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악성 흑색종 : 과거에는 오인되어 안구 적출을 시행하는 사례조차 있었으나, 전형적인 임상 양상이 다르다.
== 예후 합병증 ==
== 경과 치료 ==
자발적인 괴사가 일어나는 경향을 보이며, 이 경우 심각한 시력 손상을 보이게 된다. 약 15%에서는 수년에 걸쳐 약간의 크기 증가를 보일 수 있지만, 대개는 악성 종양으로의 이행 소견은 아니다. 뚜렷한 크기 증가와 시력 저하는 악성으로의 이행을 의미할 수 있고, 약 1~2%에서는 [[악성 흑색종]]으로 이행하기도 하므로 일년에 한두 번 정도의 정기적인 관찰과 안저 촬영이 필요하다.
10~15%에서 수년에 걸쳐 약간의 크기 증가를 보이나,이것이 보통 악성 종양으로의 이행을 의미하지는 않 는다. 악성 종양으로의 변화는 1~2%에서 발생할 수 있다<ref>Shields JA et al. Melanocytoma of optic disc in 115 cases : the 2004 Samuel Johnson Memorial Lecture, part 1. ''Ophthalmology''. 2004 Sep;111(9):1739-46. [https://pubmed.ncbi.nlm.nih.gov/15350331/ 연결]</ref>. 시력 저하가 동반된 경우, 악성 종양화를 시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안구 적출이 최선의 치료이다. 미세 흡인 생검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이 악성 흑색종으로의 이행을 확정하는 데에 시행될 수 있다.
{{참고}}
[[분류:망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