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리바운드 안압계 (rebound tonometer)''' 는 비교적 적은 숙련으로도 안압을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 '''리바운드 안압계 (rebound tonometer)''' 는 비교적 적은 숙련으로도 안압을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기계로, 대개 [[골드만 압평 안압계]] (GAT) 측정값과 의미 있는 일치율을 보여 유용한 안압 측정계로 알려졌다<ref>Brusini P et al. Comparison of ICare tonometer w GAT in glaucoma patients. ''J Glaucoma''. 2006 Jun;15(3):213-7. [https://pubmed.ncbi.nlm.nih.gov/16778643/ 연결]</ref><ref>Fernandes P et al. Comparison of the ICare rebound tonometer w the GAT in a normal population. ''Ophthalmic Physiol Opt''. 2005 Sep;25(5):436-40. [https://pubmed.ncbi.nlm.nih.gov/16101950/ 연결]</ref>. | ||
== 구조 == | == 구조 == | ||
측정 말단부는 자성을 가진 철선으로 이루어진 탐침과 솔레노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탐침의 말단부는 둥근 플라스틱으로 싸여 있다. | 측정 말단부는 자성을 가진 철선으로 이루어진 탐침과 솔레노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탐침의 말단부는 둥근 플라스틱으로 싸여 있다.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각막 표면의 요철에 영향을 덜 받고, 마취제 점안 없이 간편하고 빠르게 안압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각막 표면 손상 및 감염 전파의 가능성이 낮다. | 각막 표면의 요철에 영향을 덜 받고, 마취제 점안 없이 간편하고 빠르게 안압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각막 표면 손상 및 감염 전파의 가능성이 낮다. | ||
== 단점 == | == 단점 == | ||
리바운드 안압계는 정확성 및 신뢰도 측면에서 | 리바운드 안압계는 정확성 및 신뢰도 측면에서 GAT를 대신하기 어렵다는 보고도 있기는 하다<ref>Muttuvelu DV et al. Precision and accuracy of the ICare tonometer : peripheral and central IOP measurements by rebound tonometry. ''Acta Ophthalmol''. 2012 Jun;90(4):322-6. [https://pubmed.ncbi.nlm.nih.gov/20840218/ 연결]</ref>.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