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16일 (수)
잔글
잔글 (→‎치료)
32번째 줄: 32번째 줄:


그러나 9세 이상의 사시 및 굴절부등 약시 환아들에서도 약시 치료 시 좋은 순응도를 유지함으로써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국내의 연구 보고가 있으며<ref>Ahn JK et al. Efficacy of occlusion therapy in amblyopia patients older than 9 years of age. ''JKOS'' 2002;43:1724-9.</ref>, 순수 굴절부등 약시 환아에서 8세 이상군에서도 7세 이하군과 유사한 치료 결과를 보였던 보고가 있다<ref>Moon CS et al. Timing of amblyopia therapy in pure anisometropic amblyopia. ''JKOS'' 1998;39:185-92</ref>.
그러나 9세 이상의 사시 및 굴절부등 약시 환아들에서도 약시 치료 시 좋은 순응도를 유지함으로써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국내의 연구 보고가 있으며<ref>Ahn JK et al. Efficacy of occlusion therapy in amblyopia patients older than 9 years of age. ''JKOS'' 2002;43:1724-9.</ref>, 순수 굴절부등 약시 환아에서 8세 이상군에서도 7세 이하군과 유사한 치료 결과를 보였던 보고가 있다<ref>Moon CS et al. Timing of amblyopia therapy in pure anisometropic amblyopia. ''JKOS'' 1998;39:185-92</ref>.
=== 가림 치료 ===
=== [[가림 치료]] ===
정상안을 가리고 약시안을 강제로 사용하게 하는 방법이다. 18세기 중반 Comte de Buffon이 정상안을 가리고 약시안을 사용하여 보도록 하는 가림 치료를 시작하였으며<ref>Hoyt C. What is next in amblyopia treatment? Ophthalmology. 2015 May;122(5):871-3. [https://pubmed.ncbi.nlm.nih.gov/25919778/ 연결]</ref>, 최근 미국 사시소아안과학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97%가 가장 선호한다고 답하고 있을 정도로 약시 치료의 기본은 변하지 않고 있다<ref>Tailor V et al. Childhood amblyopia : current management and new trends. Br Med Bull. 2016 Sep;119(1):75-86. [https://pubmed.ncbi.nlm.nih.gov/27543498/ 연결]</ref>.
정상안을 가리고 약시안을 강제로 사용하게 하는 방법이다. 18세기 중반 Comte de Buffon이 정상안을 가리고 약시안을 사용하여 보도록 하는 가림 치료를 시작하였으며<ref>Hoyt C. What is next in amblyopia treatment? Ophthalmology. 2015 May;122(5):871-3. [https://pubmed.ncbi.nlm.nih.gov/25919778/ 연결]</ref>, 최근 미국 사시소아안과학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97%가 가장 선호한다고 답하고 있을 정도로 약시 치료의 기본은 변하지 않고 있다<ref>Tailor V et al. Childhood amblyopia : current management and new trends. Br Med Bull. 2016 Sep;119(1):75-86. [https://pubmed.ncbi.nlm.nih.gov/27543498/ 연결]</ref>.


38번째 줄: 38번째 줄:


PEDIG에서는 Amblyopia Treatment Studies (ATS)라는 이름으로 약시 치료에 대한 진료지침을 꾸준히 보고하고 있
PEDIG에서는 Amblyopia Treatment Studies (ATS)라는 이름으로 약시 치료에 대한 진료지침을 꾸준히 보고하고 있
다<ref>Repka MX et al; PEDIG. A randomized trial of patching regimens for treatment of moderate amblyopia in children. ''Arch Ophthalmol''. 2003 May;121(5):603-11. [https://pubmed.ncbi.nlm.nih.gov/12742836/ 연결]</ref><ref>Holmes JM et al; PEDIG. A randomized trial of prescribed patching regimens for treatment of severe amblyopia in children. Ophthalmology. 2003 Nov;110(11):2075-87. [https://pubmed.ncbi.nlm.nih.gov/14597512/ 연결]</ref>. 그러나 PEDIG에 의한 ATS에서의 진료지침은 실제 국내 약시 환아들에 곧바로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국내 실정에 맞는 진료지침이 없어 실제 임상에서 많은 안과 의사들이 저마다 다른 치료 기준을 세워 치료에 임하고 있다.  
다<ref>Repka MX et al; PEDIG. A randomized trial of patching regimens for treatment of moderate amblyopia in children. ''Arch Ophthalmol''. 2003 May;121(5):603-11. [https://pubmed.ncbi.nlm.nih.gov/12742836/ 연결]</ref><ref>Holmes JM et al; PEDIG. A randomized trial of prescribed patching regimens for treatment of severe amblyopia in children. Ophthalmology. 2003 Nov;110(11):2075-87. [https://pubmed.ncbi.nlm.nih.gov/14597512/ 연결]</ref>. 그러나 PEDIG에 의한 ATS에서의 진료지침은 실제 국내 약시 환아들에 곧바로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국내 실정에 맞는 진료지침이 없어 실제 임상에서 많은 안과 의사들이 저마다 다른 치료 기준을 세워 치료에 임하고 있다.
 
=== 안경 교정 ===
=== 안경 교정 ===
굴절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 정확한 안경 검사 후에 적절한 도수의 안경을 착용하도록 한다. 특히 약시안의 안경 도수는 치료를 시작할 때 반응을 보이지 않더라도 반복적으로 타각적 굴절 검사를 하여 이에 따라 처방해야 한다. 굴절 부등 약시에서는 단독으로 안경 교정만 해도 시력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약시가 지속되는 경우는 가림 치료를 추가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적어도 <span style='color:blue;'>16주 동안 안경을 착용한 후 가림 치료를 시행</span>한 연구가 있으나 가림 치료 전에 안경을 얼마동안 착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굴절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 정확한 안경 검사 후에 적절한 도수의 안경을 착용하도록 한다. 특히 약시안의 안경 도수는 치료를 시작할 때 반응을 보이지 않더라도 반복적으로 타각적 굴절 검사를 하여 이에 따라 처방해야 한다. 굴절 부등 약시에서는 단독으로 안경 교정만 해도 시력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약시가 지속되는 경우는 가림 치료를 추가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적어도 <span style='color:blue;'>16주 동안 안경을 착용한 후 가림 치료를 시행</span>한 연구가 있으나 가림 치료 전에 안경을 얼마동안 착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