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르처 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0 바이트 제거됨 ,  2022년 3월 18일 (금)
잔글
18번째 줄: 18번째 줄:
이환된 눈의 시력은 20/200에서 안전수지 범위로 감퇴되며, 대개 수 개월에 걸쳐 20/30~20/200으로 회복된다. 특징적인 망막 소견으로 후극부와 시신경 유두 주위 표층 망막의 다발성 백색 반점 (Purtscher flecken), 면화반, 시신경 유두 주변의 망막 출혈을 들 수 있다<ref>Agrawal A et al. Purtscher's and Purtscher-like retinopathies : a review. ''Surv Ophthalmol''. 2006 Mar-Apr;51(2):129-36. [https://pubmed.ncbi.nlm.nih.gov/16500213/ 연결]</ref>. 시신경 유두는 초기에 정상으로 보일 수 있으나 흔히 구심성 동공 운동 장애를 보이고, 급성 안저 변화가 소실되면서 신경섬유층의 소실 및 경한 신경교증을 동반한 시신경 유두 위축의 소견을 보일 수 있다.
이환된 눈의 시력은 20/200에서 안전수지 범위로 감퇴되며, 대개 수 개월에 걸쳐 20/30~20/200으로 회복된다. 특징적인 망막 소견으로 후극부와 시신경 유두 주위 표층 망막의 다발성 백색 반점 (Purtscher flecken), 면화반, 시신경 유두 주변의 망막 출혈을 들 수 있다<ref>Agrawal A et al. Purtscher's and Purtscher-like retinopathies : a review. ''Surv Ophthalmol''. 2006 Mar-Apr;51(2):129-36. [https://pubmed.ncbi.nlm.nih.gov/16500213/ 연결]</ref>. 시신경 유두는 초기에 정상으로 보일 수 있으나 흔히 구심성 동공 운동 장애를 보이고, 급성 안저 변화가 소실되면서 신경섬유층의 소실 및 경한 신경교증을 동반한 시신경 유두 위축의 소견을 보일 수 있다.


== 검사 및 진단 ==
== 검사 ==
* FA : 외상 후 초기에는 동맥 염색 및 모세혈관 누출 소견만을 보이기도 하지만, 점차 세동맥 및 세정맥 폐쇄를 동반한 비관류, 혈관벽의 염색, 정맥 확장 및 누출 소견을 보일 수 있다.
* FA : 외상 후 초기에는 동맥 염색 및 모세혈관 누출 소견만을 보이기도 하지만, 점차 세동맥 및 세정맥 폐쇄를 동반한 비관류, 혈관벽의 염색, 정맥 확장 및 누출 소견을 보일 수 있다.
* ICGA : 맥락막 저형광 소견은 맥락막 순환 장애도 일으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ICGA : 맥락막 저형광 소견은 맥락막 순환 장애도 일으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
고용량의 스테로이드 치료, 고압 산소 치료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정립된 치료 방법은 없다.
고용량의 스테로이드 치료, 고압 산소 치료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정립된 치료 방법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