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안면 마비 (facial palsy) == 원인 == * 특발성 안면 마비 (Bell's palsy) * 종양 : 얼굴 마비가 서서히 진행하거나, 변동이 있거나, 얼굴의 운동 과...)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안면 마비 (facial palsy) | '''안면 마비 (facial palsy)'''{{신경안과}} | ||
== 원인 == | == 원인 == | ||
* [[특발성 안면 마비]] (Bell's palsy) | * [[특발성 안면 마비]] (Bell's palsy) | ||
* 종양 : 얼굴 마비가 서서히 진행하거나, 변동이 있거나, 얼굴의 운동 과다증과 동반될 경우는 그 원인이 종양일 가능성이 높다. 가장 흔한 종양은 8번 뇌신경에 발생하여 서서히 진행하는 청신경종이다. 청신경종은 주변 조직에 대한 압박으로 얼굴 신경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종양의 크기가 작을수록 종양 절제 후 얼굴 신경 기능 회복의 예후가 더 좋다. | * 종양 : 얼굴 마비가 서서히 진행하거나, 변동이 있거나, 얼굴의 운동 과다증과 동반될 경우는 그 원인이 종양일 가능성이 높다. 가장 흔한 종양은 8번 뇌신경에 발생하여 서서히 진행하는 청신경종이다. 청신경종은 주변 조직에 대한 압박으로 얼굴 신경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종양의 크기가 작을수록 종양 절제 후 얼굴 신경 기능 회복의 예후가 더 좋다. | ||
* 기타 : Ramsey-Hunt 증후군, [[라임병]], 면역 기능 저하 환자, [[나병]], [[사르코이드증]], 세균 감염, 외상, 뇌혈관 질환 등 | * 기타 : Ramsey-Hunt 증후군, [[라임병]], 면역 기능 저하 환자, [[나병]], [[사르코이드증]], 세균 감염, 외상, 뇌혈관 질환 등 | ||
== | == 증상 == | ||
운동신경섬유의 차단은 눈둘레근의 약화를 유발하여 눈을 감을 수 없게 되고, 눈꺼풀겉말림, 눈꺼풀후퇴, 눈물배출펌프기능의 약화 등을 초래한다. [[얼굴 신경]] 마비 후 건성안이나 각막염, 반사성 눈물흘림, 눈꺼풀 위치 이상 등의 안과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증상의 심한 정도는 마비 정도와 환자의 연령에 좌우된다. | |||
== 치료 == | |||
각막 노출이 발생하면 인공 눈물 성분의 안약이나 안연고를 자주 투여하여야 한다. 밤에 잠자기 직전 안연고를 눈에 넣은 후 주방용 랩 같은 얇은 비밀로 덮어주면 잠자는 동안 각막 노출을 예방할 수 있다. 밤에 <span style='color:blue;'>접착 테이프로 눈꺼풀을 붙이는 것은 잠자는 동안 눈꺼풀이 열리게 되면 접착 테이프라 각막을 문지를 수 있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 좋다</span>. 물안경이나 moist chamber도 도움이 된다. 내과적 치료 방법으로 치료할 수 없거나, 오래 지속될 것 같으면 수술적 처치가 필요하다. | 각막 노출이 발생하면 인공 눈물 성분의 안약이나 안연고를 자주 투여하여야 한다. 밤에 잠자기 직전 안연고를 눈에 넣은 후 주방용 랩 같은 얇은 비밀로 덮어주면 잠자는 동안 각막 노출을 예방할 수 있다. 밤에 <span style='color:blue;'>접착 테이프로 눈꺼풀을 붙이는 것은 잠자는 동안 눈꺼풀이 열리게 되면 접착 테이프라 각막을 문지를 수 있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 좋다</span>. 물안경이나 moist chamber도 도움이 된다. 내과적 치료 방법으로 치료할 수 없거나, 오래 지속될 것 같으면 수술적 처치가 필요하다. | ||
== 회복 == | |||
손상 후 정상적인 [[얼굴 신경]] 재생의 기전은 신경 축삭의 근위 말단부 종창이 발생하고 신경집 세포가 길게 증식한 후에 축삭 재생이 랑비에 결절로부터 손상부의 원위쪽으로 일어나면서 신경 재생이 발생하는 것이다<ref>Choi D et al. Facial nerve repair and regeneration : an overview of basic principles for neurosurgeons. ''Acta Neurochir (Wien)''. 2001;143(2):107-14. [https://pubmed.ncbi.nlm.nih.gov/11459080/ 연결]</ref>.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