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 각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137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19일 (토)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유행 각결막염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EKC)'''{{각막}} 은 [[아데노바이러스 결막염]] 중 가장 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낸다.
'''유행 각결막염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EKC)'''{{각막}} 은 [[아데노바이러스 결막염]] 중 가장 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낸다.
== 역학 ==
== 역학 ==
아데노 바이러스의 혈청형은 8, 9, 37 (주로 8) 이며, 전염력이 강하며 병원내 감염도 흔하다. 감염은 직접 접촉, 성적 감염, 수영장 물이나 접촉성 안압계 등 안과 기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아데노 바이러스의 혈청형은 8, 9, 37 (주로 8) 이며, 전염력이 강하며 병원내 감염도 흔하다. 감염은 손과 분비물 등으로 전염되는 접촉성 질환으로 주로 공공장소나 병원을 통해 전염되며, 매년마다 많은 수의 환자들이 발생한다
== 증상 ==
== 증상 ==
[[인두 결막열]]보다 심하다. 눈 외의 다른 증상은 없으며, 주로 양안성인 [[인두 결막열]]에 비해 단안에만 생길 수도 있다. 결막은 경한 충혈부터 여포, 유두 결막염 (모두 아래 결막 구석에서 심함), 결막하 출혈, 결막 부종, 거짓막/막 결막염까지 생길 수 있다. 거짓막이나 막에 의해 각막이 마찰되어 각막 상피가 벗겨지며, 지도 모양 헤르페스 각막염과 비슷해 보일 수 있다.
[[인두 결막열]]보다 심하다. 눈 외의 다른 증상은 없으며, 주로 양안성인 [[인두 결막열]]에 비해 단안에만 생길 수도 있다. 결막은 경한 충혈부터 여포, 유두 결막염 (모두 아래 결막 구석에서 심함), 결막하 출혈, 결막 부종, 거짓막/막 결막염까지 생길 수 있다. 거짓막이나 막에 의해 각막이 마찰되어 각막 상피가 벗겨지며, 지도 모양 헤르페스 각막염과 비슷해 보일 수 있다.
20번째 줄: 20번째 줄:


이런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피하 침윤의 기미가 있을 때 면역 반응을 약화시키기 위해 점안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 결막염이 호전되고 나서도 남아 있는 상피하 침윤은 점안 스테로이드로 수와 침윤 정도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점안을 중지하면 다시 악화되기도 하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이런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피하 침윤의 기미가 있을 때 면역 반응을 약화시키기 위해 점안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 결막염이 호전되고 나서도 남아 있는 상피하 침윤은 점안 스테로이드로 수와 침윤 정도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점안을 중지하면 다시 악화되기도 하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 전염 예방 ==
감염원과의 접촉 감소 및 위생 강화를 통해 EKC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는 결과들이 많다<ref>Tyhurst KN et al.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 an update for the optometric practice. ''Optometry''. 2009 Nov;80(11):613-20. [https://pubmed.ncbi.nlm.nih.gov/19861216/ 연결]</ref>. Gottsch 등<ref>Gottsch JD et al. Prevention and control of EKC in a teaching eye institute. ''Ophthalmic Epidemiol''. 1999 Mar;6(1):29-39. [https://pubmed.ncbi.nlm.nih.gov/10384682/ 연결]</ref>은 EKC를 줄이기 위하여 감염 환자의 격리 진료, 의료진 손 위생 강화, 진료 후 기구 소독을 시행한 이후 대유행이 크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Muller 등<ref>Muller MP et al. Adenovirus-related EKC outbreak at a hospital-affiliated ophthalmology clinic. ''Am J Infect Control''. 2018 May;46(5):581-583. [https://pubmed.ncbi.nlm.nih.gov/29305276/ 연결]</ref>은 병원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안약의 사용을 줄이는 것도 유행성 각결막염의 발생률을 낮췄다고 보고하였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