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중증 근무력증 (myasthenia gravis; MG) 은 신경-근 이음부 전달 장애가 있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근육 약화와 피로가 특징적이다. 눈과 관련되어...)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중증 근무력증 (myasthenia gravis; MG) 은 신경-근 이음부 전달 장애가 있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근육 약화와 피로가 특징적이다. 눈과 관련되어 눈꺼풀 올림근과 외안근이 침범되어 눈꺼풀 처짐과 복시가 나타난다. | '''중증 근무력증 (myasthenia gravis; MG)'''{{신경안과}} 은 신경-근 이음부 전달 장애가 있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근육 약화와 피로가 특징적이다. 눈과 관련되어 눈꺼풀 올림근과 외안근이 침범되어 눈꺼풀 처짐과 복시가 나타난다. | ||
== 역학 == | == 역학 == | ||
1만명 당 한 명의 빈도로 흔치 않고, 인종이나 지역 차이는 없다. 주로 10세 이후 생기고 70세 이상에서는 드물다. 중증 근무력증은 40세 이전에는 주로 여자에서 많이 발생하고, 40세 이후에는 남자에서 더 많아 '젊은 여자와 늙은 남자의 병'이라고도 한다. | 1만명 당 한 명의 빈도로 흔치 않고, 인종이나 지역 차이는 없다. 주로 10세 이후 생기고 70세 이상에서는 드물다. 중증 근무력증은 40세 이전에는 주로 여자에서 많이 발생하고, 40세 이후에는 남자에서 더 많아 '젊은 여자와 늙은 남자의 병'이라고도 한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약물 유도 근무력증 : penicillamine 등 약물에 대한 항체 매개성 근무력증 | * 약물 유도 근무력증 : penicillamine 등 약물에 대한 항체 매개성 근무력증 | ||
* 신경-근 이음부 차단 : gentamycin과 같은 aminoglycoside가 신경-근육 접합부를 차단하는 경우로 면역 기전과 무관하다. | * 신경-근 이음부 차단 : gentamycin과 같은 aminoglycoside가 신경-근육 접합부를 차단하는 경우로 면역 기전과 무관하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