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근무력증: 두 판 사이의 차이

3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20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중증 근무력증 (myasthenia gravis; MG) 은 신경-근 이음부 전달 장애가 있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근육 약화와 피로가 특징적이다. 눈과 관련되어...)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중증 근무력증 (myasthenia gravis; MG) 은 신경-근 이음부 전달 장애가 있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근육 약화와 피로가 특징적이다. 눈과 관련되어 눈꺼풀 올림근과 외안근이 침범되어 눈꺼풀 처짐과 복시가 나타난다.
'''중증 근무력증 (myasthenia gravis; MG)'''{{신경안과}} 은 신경-근 이음부 전달 장애가 있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근육 약화와 피로가 특징적이다. 눈과 관련되어 눈꺼풀 올림근과 외안근이 침범되어 눈꺼풀 처짐과 복시가 나타난다.
== 역학 ==
== 역학 ==
1만명 당 한 명의 빈도로 흔치 않고, 인종이나 지역 차이는 없다. 주로 10세 이후 생기고 70세 이상에서는 드물다. 중증 근무력증은 40세 이전에는 주로 여자에서 많이 발생하고, 40세 이후에는 남자에서 더 많아 '젊은 여자와 늙은 남자의 병'이라고도 한다.
1만명 당 한 명의 빈도로 흔치 않고, 인종이나 지역 차이는 없다. 주로 10세 이후 생기고 70세 이상에서는 드물다. 중증 근무력증은 40세 이전에는 주로 여자에서 많이 발생하고, 40세 이후에는 남자에서 더 많아 '젊은 여자와 늙은 남자의 병'이라고도 한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 약물 유도 근무력증 : penicillamine 등 약물에 대한 항체 매개성 근무력증
* 약물 유도 근무력증 : penicillamine 등 약물에 대한 항체 매개성 근무력증
* 신경-근 이음부 차단 : gentamycin과 같은 aminoglycoside가 신경-근육 접합부를 차단하는 경우로 면역 기전과 무관하다.
* 신경-근 이음부 차단 : gentamycin과 같은 aminoglycoside가 신경-근육 접합부를 차단하는 경우로 면역 기전과 무관하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