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와첨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748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21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안와첨 증후군 (orbital apex syndrome)'''{{성형안과}} 은 [[안와첨]]에 종양이나 염증이 발생하여 여러 신경과 혈관에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안와첨 증후군 (orbital apex syndrome)'''{{성형안과}} 은 [[안와첨]]에 종양이나 염증이 발생하여 여러 신경과 혈관에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 원인 ==
염증, 감염<ref>Marcet MM et al. Aspergillus infection of the orbital apex masquerading as Tolosa-Hunt syndrome. ''Arch Ophthalmol''. 2007 Apr;125(4):563-6. [https://pubmed.ncbi.nlm.nih.gov/17420381/ 연결]</ref>, 종양, 혈관질환 및 외상이 원인이 되어서 발생할 수 있다.
== 분류 ==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3가지 질병군을 포함하고 있다.
* 위안와 틈새 증후군
* 안와첨 증후군
* 해면 정맥굴 증후군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동안신경]] (3번), [[활차신경]] (4번), 외향신경 (6번), 삼차신경 (5번 뇌신경) 의 안분지 (ophthalmic division) 의 기능 이상과 더불어 시신경의 손상이 동반되는 증상이 특징적이다<ref>Yeh S et al. Orbital apex syndrome. ''Curr Opin Ophthalmol''. 2004 Dec;15(6):490-8. [https://pubmed.ncbi.nlm.nih.gov/15523194/ 연결]</ref>. 눈운동 장애, 감각 변화, 외안근 마비, 안검하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각각 2, 3, 4, 6번 뇌신경 기능 이상과 관련이 있다<ref>백승화 외, 접형동, 사골동의 비강형 자연 살패/T세포 림프종에 의한 안와첨 증후군 1예, ''JKOS'' 2010;51(2):286-291.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251 연결]</ref>.
[[동안신경]] (3번), [[활차신경]] (4번), 외향신경 (6번), 삼차신경 (5번 뇌신경) 의 안분지 (ophthalmic division) 의 기능 이상과 더불어 시신경의 손상이 동반되는 증상이 특징적이다<ref>Yeh S et al. Orbital apex syndrome. ''Curr Opin Ophthalmol''. 2004 Dec;15(6):490-8. [https://pubmed.ncbi.nlm.nih.gov/15523194/ 연결]</ref>. 눈운동 장애, 감각 변화, 외안근 마비, 안검하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각각 2, 3, 4, 6번 뇌신경 기능 이상과 관련이 있다<ref>백승화 외, 접형동, 사골동의 비강형 자연 살패/T세포 림프종에 의한 안와첨 증후군 1예, ''JKOS'' 2010;51(2):286-291.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251 연결]</ref>.
해면 정맥굴 증후군은 시신경병증 없이 5번 뇌신경의 위턱분지 및 교감 신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ref>Kline LB. The Tolosa-Hunt syndrome. ''Surv Ophthalmol''. 1982 Sep-Oct;27(2):79-95. [https://pubmed.ncbi.nlm.nih.gov/6755785/ 연결]</ref>.
== 검사 ==
== 검사 ==
원인 질환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영상 검사가 시행되어야 한다.
원인 질환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영상 검사가 시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