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치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안와첨 증후군 (orbital apex syndrome)'''{{성형안과}} 은 [[안와첨]]에 종양이나 염증이 발생하여 여러 신경과 혈관에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 '''안와첨 증후군 (orbital apex syndrome)'''{{성형안과}} 은 [[안와첨]]에 종양이나 염증이 발생하여 여러 신경과 혈관에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 ||
== 역학 == | |||
외상으로 인한 발생률은 연구에 따라 10~35%까지 보고되고 있다. | |||
== 원인 == | == 원인 == | ||
염증, 감염<ref>Marcet MM et al. Aspergillus infection of the orbital apex masquerading as Tolosa-Hunt syndrome. ''Arch Ophthalmol''. 2007 Apr;125(4):563-6. [https://pubmed.ncbi.nlm.nih.gov/17420381/ 연결]</ref>, 종양, 혈관질환 및 외상이 원인이 되어서 발생할 수 있다. 이 중 외상에 의한 경우 안와 관통상<ref>Brent BD et al. Orbital apex syndrome after penetrating orbital trauma. ''Ann Ophthalmol''. 1990 Jul;22(7):267-8. [https://pubmed.ncbi.nlm.nih.gov/2393225/ 연결]</ref>, 안면부 골절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은데<ref>Lasky JB et al. Household objects as a cause of self-inflicted orbital apex syndrome. ''J Trauma''. 1997 Mar;42(3):555-8. [https://pubmed.ncbi.nlm.nih.gov/9095130/ 연결]</ref>, 이때의 기능 소실은 안와 조직의 직접적인 손상, 또는 이차적인 염증 혹은 압박으로 인한 간접적 손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ref>Peter NM et al. Orbital apex syndrome from blunt ocular trauma. ''Orbit''. 2010 Feb;29(1):42-4. [https://pubmed.ncbi.nlm.nih.gov/20302410/ 연결]</ref>. 국내에서는 안와의 종양 침범에 의한 경우<ref>백승화 외, 접형동, 사골동의 비강형 자연 살패/T세포 림프종에 의한 안와첨 증후군 1예, ''JKOS'' 2010;51(2):286-291.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251 연결]</ref>, 안와 관통상과 연관하여 발생한 경우가 보고된 바 있다<ref>백성욱 외, 안와 관통상으로 인해 발생한 안와첨 증후군의 장기 경과 관찰 1예, ''JKOS'' 2013;54(8):1275-1281.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284 연결]</ref><ref>한결 외, 안와 관통상으로 인해 발생한 상안와열 증후군 경과 관찰 1예, ''JKOS'' 2015;56(4):592-597.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787 연결]</ref>. | 염증, 감염<ref>Marcet MM et al. Aspergillus infection of the orbital apex masquerading as Tolosa-Hunt syndrome. ''Arch Ophthalmol''. 2007 Apr;125(4):563-6. [https://pubmed.ncbi.nlm.nih.gov/17420381/ 연결]</ref>, 종양, 혈관질환 및 외상이 원인이 되어서 발생할 수 있다. 이 중 외상에 의한 경우 안와 관통상<ref>Brent BD et al. Orbital apex syndrome after penetrating orbital trauma. ''Ann Ophthalmol''. 1990 Jul;22(7):267-8. [https://pubmed.ncbi.nlm.nih.gov/2393225/ 연결]</ref>, 안면부 골절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은데<ref>Lasky JB et al. Household objects as a cause of self-inflicted orbital apex syndrome. ''J Trauma''. 1997 Mar;42(3):555-8. [https://pubmed.ncbi.nlm.nih.gov/9095130/ 연결]</ref>, 이때의 기능 소실은 안와 조직의 직접적인 손상, 또는 이차적인 염증 혹은 압박으로 인한 간접적 손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ref>Peter NM et al. Orbital apex syndrome from blunt ocular trauma. ''Orbit''. 2010 Feb;29(1):42-4. [https://pubmed.ncbi.nlm.nih.gov/20302410/ 연결]</ref>. 국내에서는 안와의 종양 침범에 의한 경우<ref>백승화 외, 접형동, 사골동의 비강형 자연 살패/T세포 림프종에 의한 안와첨 증후군 1예, ''JKOS'' 2010;51(2):286-291.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251 연결]</ref>, 안와 관통상과 연관하여 발생한 경우가 보고된 바 있다<ref>백성욱 외, 안와 관통상으로 인해 발생한 안와첨 증후군의 장기 경과 관찰 1예, ''JKOS'' 2013;54(8):1275-1281.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284 연결]</ref><ref>한결 외, 안와 관통상으로 인해 발생한 상안와열 증후군 경과 관찰 1예, ''JKOS'' 2015;56(4):592-597.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787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