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대광 반사의 변화)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동공 (pupil)'''{{신경안과}} 은 [[홍채]]의 중심보다 약간 비측에 위치하며, 각막에 의해 실제보다 1/8 정도 크게 보인다. | |||
== 동공 크기의 변화 == | == 동공 크기의 변화 == | ||
=== 나이 === | === 나이 === | ||
영아기에는 동공 크기가 작으나, 생후 6개월 이내에 동공이 커지기 시작하여 청소년기에 최대가 된다. 이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교감 신경의 긴장도가 줄어들고 EW핵에 대한 중추성 억제가 감소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대광 반사 잠복기는 변하지 않는다. | 영아기에는 동공 크기가 작으나, 생후 6개월 이내에 동공이 커지기 시작하여 청소년기에 최대가 된다. 이는 출생 후 홍채내 교감신경계가 점차 발달하고 전안부가 서서히 성장하기 때문이다<ref>Laor N et al. Sympathetic pupillary activity in infants. ''Pediatrics''. 1977 Feb;59(2):195-8. [https://pubmed.ncbi.nlm.nih.gov/834504/ 연결]</ref>. | ||
20세 이후 동공 크기는 꾸준히 감소한다<ref>고병욱 외, 한국인의 연령 및 조도에 따른 동공 크기에 대한 연구, ''JKOS'' 2011;52(4):401-406.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967 연결]</ref>.이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교감 신경의 긴장도가 줄어들고 EW핵에 대한 중추성 억제가 감소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대광 반사 잠복기는 변하지 않는다. | |||
=== 안압 === | === 안압 === | ||
안압이 상승하면 축동근이 영향을 받아 동공이 확장된다. 이러한 현상은 홍채의 허혈로 일부 설명된다. 산동근은 상대적으로 안압 상승의 영향을 덜 받지만 안압이 크게 상승하면 산동근도 마비된다. | 안압이 상승하면 축동근이 영향을 받아 동공이 확장된다. 이러한 현상은 홍채의 허혈로 일부 설명된다. 산동근은 상대적으로 안압 상승의 영향을 덜 받지만 안압이 크게 상승하면 산동근도 마비된다<ref>Rutkowski PC et al. Mydriasis and IIOP. I. Pupillographic studies. ''Arch Ophthalmol''. 1972 Jan;87(1):21-4. [https://pubmed.ncbi.nlm.nih.gov/5007779/ 연결]</ref>. | ||
=== 동공 크기에 따른 동공 움직임 === | === 동공 크기에 따른 동공 움직임 === | ||
동공 크기가 약 3.5~6.0mm 인 구간에서는 빛 자극에 동공 크기가 거의 비례하여 변하지만, 3.5mm 보다 작은 경우 빛 자극에 동공이 수축되는 양이 줄고, 6mm 보다 큰 경우에는 동공이 확대되는 양이 줄어든다. 예를 들어 동일한 빛을 주었을 때, 원래 동공 크기가 3.5mm 였던 사람은 5.0mm 였떤 사람에 비해 동공 수축이 적을 수 밖에 없다. 이는 홍채의 기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 동공 크기가 약 3.5~6.0mm 인 구간에서는 빛 자극에 동공 크기가 거의 비례하여 변하지만, 3.5mm 보다 작은 경우 빛 자극에 동공이 수축되는 양이 줄고, 6mm 보다 큰 경우에는 동공이 확대되는 양이 줄어든다. 예를 들어 동일한 빛을 주었을 때, 원래 동공 크기가 3.5mm 였던 사람은 5.0mm 였떤 사람에 비해 동공 수축이 적을 수 밖에 없다. 이는 홍채의 기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 ||
14번째 줄: | 16번째 줄: | ||
=== 빛 스펙트럼에 따른 대광 반사의 민감도 === | === 빛 스펙트럼에 따른 대광 반사의 민감도 === | ||
암순응 상태에서는 막대세포가 반응하여 파란색 계열의 빛에 민감하고, 명순응 상태에서는 원뿔세포가 반응하여 초록색 빛에 민감해지는 Punkinje 현상을 보인다. 멜라놉 함유 망막 신경절세포는 넓은 스펙트럼의 빛에 감수성을 보이며, 약 490nm 파장의 빛에 가장 민감하다. | 암순응 상태에서는 막대세포가 반응하여 파란색 계열의 빛에 민감하고, 명순응 상태에서는 원뿔세포가 반응하여 초록색 빛에 민감해지는 Punkinje 현상을 보인다. 멜라놉 함유 망막 신경절세포는 넓은 스펙트럼의 빛에 감수성을 보이며, 약 490nm 파장의 빛에 가장 민감하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