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녹내장성 시야의 판정 기준) |
잔글 (→분류)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시야 측정의 목적은 '시야의 섬'이 정상으로부터 전반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변화한 정도를 알아내는 것이다. | 시야 측정의 목적은 '시야의 섬'이 정상으로부터 전반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변화한 정도를 알아내는 것이다. | ||
== 분류 == | == 분류 == | ||
=== 동적 검사 === | |||
* 정적 | 시표를 보이지 않는 영역에서 볼 수 있는 곳으로 움직여서 처음 빛을 감지한 곳을 중심 주시점으로부터의 거리로 표시한다. 동적 측정에서 시표의 움직임은 항상 일정해야 하며, 2~4˚/초 의 속도가 적당하다. 시표를 다시 피검자가 볼 수 없는 다른 방향으로 옮긴 다음 다시 피검자가 감지할 때까지 중심으로 움직이면서 15˚ 간격으로 반복 시행하여 전체 360˚를 검사한다. 이렇게 해서 이루어진 경계를 연결한 선을 아이솝터(isopter)라고 하며 그 모양은 시표의 크기와 밝기에 따라 다르다. 만약 시표를 시야의 여러 방향에서 무작위로 비추어 검사를 하면 15˚ 간격으로 비출 때보다 시야가 좁아지고 불규칙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시표를 15˚ 간격으로 비추는 경우가 검사의 재현성이 더 좋다. 동적 측정법에서 암점의 검사는 암점의 중심에 자극을 주고 점차 모든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이는 부위를 찾는 방법으로 검사를 하여 암점의 크기와 형태를 알아낸다. | ||
* [[골드만 시야 검사]] | |||
* [[탄젠트 스크린 시야 검사]] | |||
=== 정적 검사 === | |||
여러 개의 고정된 점에서 역치의 크기를 알아내는 검사법이다. 역치란 특정한 상황에서 주어진 자극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특정한 밝기의 빛으로 수 차례 자극을 주었을 때 그 중 50%를 인지할 수 있다면 그 빛의 밝기가 역치가 된다. 50%를 초과하여 인지할 수 있는 빛의 밝기는 suprathreshold 라고 하며 50% 미만으로 인지할 수 있는 빛의 밝기는 infrathreshold 라고 한다. | |||
* [[험프리 시야 검사]] | |||
== 시야 판독 결과 지표 (global indices) == | == 시야 판독 결과 지표 (global indices) == | ||
* 평균 감도 (mean sensitivity) : 모든 역치의 평균 | * 평균 감도 (mean sensitivity) : 모든 역치의 평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