덧눈꺼풀: 두 판 사이의 차이

25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23일 (수)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13번째 줄:
* [[눈꺼풀 속말림]] : 덧눈꺼풀에서 <span style='color:blue;'>눈꺼풀테의 위치는 정상</span>이며 눈꺼풀판에도 이상이 없어서, 눈꺼풀테가 눈쪽으로 말려들어간 눈꺼풀 속말림과는 구별된다.
* [[눈꺼풀 속말림]] : 덧눈꺼풀에서 <span style='color:blue;'>눈꺼풀테의 위치는 정상</span>이며 눈꺼풀판에도 이상이 없어서, 눈꺼풀테가 눈쪽으로 말려들어간 눈꺼풀 속말림과는 구별된다.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
덧눈꺼풀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히 호전될 수도 있기 때문에 모든 환자들이 수술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각막 미란 등 각막 자극 증상에 대하여 인공눈물 점안제 투여 등 보존적인 치료를 해보고, 이러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이 심하거나 각막 미란의 정도가 심할 때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얼굴 골격의 변화 및 피부와 근육의 성장으로 증상이 자연히 호전될 수도 있기 때문에 모든 환자들이 수술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ref>Khwarg SI et al. Epiblepharon of the lower eyelid : classification and a/w astigmatism. ''Korean J Ophthalmol''. 1997 Dec;11(2):111-7. [https://pubmed.ncbi.nlm.nih.gov/9510654/ 연결]</ref>. 각막 미란 등 각막 자극 증상에 대하여 인공눈물 점안제 투여 등 보존적인 치료를 해보고, 이러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이 심하거나 각막 미란의 정도가 심할 때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 수술적 치료 ==
== 수술적 치료 ==
증상이 심하거나 성장에 따라 호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적 교정이 필요하다<ref name=r2 />.
증상이 심하거나 성장에 따라 호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적 교정이 필요하다<ref name=r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