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미니 공막 CL) |
잔글 (→미니 공막 CL)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미니 공막 콘택트렌즈는 전체 렌즈 직경이 15~18 mm 범위를 가지는 새로운 유형으로, 전체 직경이 수평 홍채 직경 | 미니 공막 콘택트렌즈는 전체 렌즈 직경이 15~18 mm 범위를 가지는 새로운 유형으로, 전체 직경이 수평 홍채 직경 | ||
(horizontal visible iris diameter, HVID) 보다 최대 6 mm까지 크거나, 공막 착지대가 최대 1.5 mm 까지인 경우를 말한다. | (horizontal visible iris diameter, HVID) 보다 최대 6 mm까지 크거나, 공막 착지대가 최대 1.5 mm 까지인 경우를 말한다. | ||
전통적인 공막 콘택트렌즈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전체 직경이 작고, RGP렌즈보다는 직경이 큰 까닭에 HCL의 광학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착용감도 좋다<ref>Akkaya Turhan S et al. Use of a Mini-Scleral Lens in Patients w KC. ''Turk J Ophthalmol''. 2020 Dec 29;50(6):339-342. [https://pubmed.ncbi.nlm.nih.gov/33389933/ 연결]</ref>. 11 게다가 공막 착지대가 작아 렌즈 탈착이 편하고 공막부 난시에 의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처방이 비교적 손쉽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 그 사용이 늘고 있다<ref>Lee SM et al. LT effect of corneoscleral contact lenses on refractory ocular surface diseases. ''Cont Lens Anterior Eye''. 2019 Aug;42(4):399-405. [https://pubmed.ncbi.nlm.nih.gov/30389416/ 연결]</ref><ref>서수연 등, 다양한 각막 질환에서 미니 공막 콘택트렌즈의 임상 결과, ''JKOS'' 2016;57(11):1699-170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9317 연결]</ref>. | |||
RGP의 광학적인 장점뿐 아니라 큰 직경으로 인해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버금가는 편안한 착용감을 갖추고 있다. 게다가 전체 직경이 20~24 mm인 전통적인 공막 콘택트렌즈보다 훨씬 작아 렌즈 처방을 보다 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환자들 또한 렌즈를 보다 손쉽게 다룰 수 있다<ref>Pullum KW et al. Scleral CLs : the expanding role. ''Cornea''. 2005 Apr;24(3):269-77. [https://pubmed.ncbi.nlm.nih.gov/15778597/ 연결]</ref><ref>Schornack MM et al. Relationship between corneal topographic indices and scleral lens base curve. ''Eye Contact Lens''. 2010 Nov;36(6):330-3. [https://pubmed.ncbi.nlm.nih.gov/20631627/ 연결]</ref>. | RGP의 광학적인 장점뿐 아니라 큰 직경으로 인해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버금가는 편안한 착용감을 갖추고 있다. 게다가 전체 직경이 20~24 mm인 전통적인 공막 콘택트렌즈보다 훨씬 작아 렌즈 처방을 보다 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환자들 또한 렌즈를 보다 손쉽게 다룰 수 있다<ref>Pullum KW et al. Scleral CLs : the expanding role. ''Cornea''. 2005 Apr;24(3):269-77. [https://pubmed.ncbi.nlm.nih.gov/15778597/ 연결]</ref><ref>Schornack MM et al. Relationship between corneal topographic indices and scleral lens base curve. ''Eye Contact Lens''. 2010 Nov;36(6):330-3. [https://pubmed.ncbi.nlm.nih.gov/20631627/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