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성 시신경 위축: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15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23일 (수)
잔글
16번째 줄: 16번째 줄:


== 증상과 징후 ==
== 증상과 징후 ==
=== 시력 ===
20세 이전의 젋은 연령에서 서서히 시력과 색각이 저하된다<ref>Yu-Wai-Man P et al. The prevalence and natural history of DOA due to OPA1 mutations. ''Ophthalmology''. 2010 Aug;117(8):1538-46, 1546.e1. [https://pubmed.ncbi.nlm.nih.gov/20417570/ 연결]</ref>. 나이에 상관 없이 두 눈에 설명할 수 없는 시력 저하가 있고, 언제부터인지 모르게 서서히 시력이 감소한 경우 이 질환을 고려해야 한다. 안전 수동에서 1.0까지 저하 정도가 다양하며 가계 간에 시력 차이가 심하다. 심지어 동일 가족 내에서도 불완전 침투 기전으로 인해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ref>Chun BY. Dominant optic atrophy. ''Ann Optom Contact Lens'' 2020;19:27-9.</ref>.
20세 이전의 젋은 연령에서 서서히 시력과 색각이 저하된다<ref>Yu-Wai-Man P et al. The prevalence and natural history of DOA due to OPA1 mutations. ''Ophthalmology''. 2010 Aug;117(8):1538-46, 1546.e1. [https://pubmed.ncbi.nlm.nih.gov/20417570/ 연결]</ref>. 나이에 상관 없이 두 눈에 설명할 수 없는 시력 저하가 있고, 언제부터인지 모르게 서서히 시력이 감소한 경우 이 질환을 고려해야 한다. 안전 수동에서 1.0까지 저하 정도가 다양하며 가계 간에 시력 차이가 심하다. 심지어 동일 가족 내에서도 불완전 침투 기전으로 인해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ref>Chun BY. Dominant optic atrophy. ''Ann Optom Contact Lens'' 2020;19:27-9.</ref>.
=== 안저 검사 ===
양안의 시신경 유두의 이측 창백과 유두주위 [[망막 신경섬유층]]의 두께가 감소한 소견이 관찰된다<ref>Barboni P et al. Early macular RGC loss in DOA :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AJO''. 2014 Sep;158(3):628-36.e3. [https://pubmed.ncbi.nlm.nih.gov/24907432/ 연결]</ref>.
=== 플러스 증후군 ===
DOA 환자의 약 20%에서는 안과적 증상 외에 청력 저하, 근병증, 말초신경병증, [[만성 진행성 외안근 마비]] 등의 전신 증상이 동반되는 '플러스 증후군 (plus syndrome)' 이 나타난다. 이들은 전신증상이 없는 환자에 비해 시력 저하가 훨씬 더 심하며, 시력저하가 발생하고 난 뒤, 수십년이 지난 후 주로 30-40대에서 전신증상들이 나타난다.


안저 검사에서 양안의 시신경 유두의 이측 창백과 유두주위 [[망막 신경섬유층]]의 두께가 감소한 소견이 관찰된다<ref>Barboni P et al. Early macular RGC loss in DOA :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AJO''. 2014 Sep;158(3):628-36.e3. [https://pubmed.ncbi.nlm.nih.gov/24907432/ 연결]</ref>.
다른 유전 질환들과 임상적인 유사점을 보일 수 있어 환자 진단 시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WFS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볼프람 증후군]] 환자는 양안의 시신경 위축과 함께 난청, 내당능장애, 비뇨기과적 이상 등이 동반되며, ''ANT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에서는 외안근 마비를 나타낸다<ref>Rendtorff ND et al. Identification of p.A684V missense mutation in the ''WFS1'' gene as a frequent cause of ADOA and hearing impairment. ''Am J Med Genet A''. 2011 Jun;155A(6):1298-313. [https://pubmed.ncbi.nlm.nih.gov/21538838/ 연결]</ref>.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