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임상 경과) |
잔글 (→진단)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 진단 == | == 진단 == | ||
병변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여 형태만으로 감별이 어렵고 조직검사를 통한 확진이 필요하다<ref>Kamalpour L et al. Primary cutaneous mucinous carcin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utcomes after surgery. ''JAMA Dermatol''. 2014 Apr;150(4):380-4. [https://pubmed.ncbi.nlm.nih.gov/24452370/ 연결]</ref>. | 병변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여 형태만으로 감별이 어렵고 조직검사를 통한 확진이 필요하다<ref>Kamalpour L et al. Primary cutaneous mucinous carcin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utcomes after surgery. ''JAMA Dermatol''. 2014 Apr;150(4):380-4. [https://pubmed.ncbi.nlm.nih.gov/24452370/ 연결]</ref>. | ||
== 감별 진단 == | |||
PMA보다 전이성 점액 샘암종의 발생 빈도가 더 높기 때문에 피부에 발생하는 PMA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유방이나 위장관으로부터 전이된 전이성 점액 샘암종을 배제하는 것이 필요하다.<ref>Terada T et al. Primary cutaneous mucinous carcinoma initially diagnosed as metastatic adenocarcinoma. ''Tohoku J Exp Med''. 2004 Aug;203(4):345-8. [https://pubmed.ncbi.nlm.nih.gov/15297740/ 연결]</ref>. 전이성 점액 샘암종에서는 체세포 분열이 더 많고 핵의 염색성이 더 높으며, 다수의 비정형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고 주로 종양 주변부의 콜라겐 다발 사이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나, 조직학적으로 PMA와 재발성 점액 샘암종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