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9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예후 및 합병증)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AF : RPE의 소실로 저형광을 나타내나 파열 경계부는 RPE 과증식으로 인해 과형광을 보일 수 있다<ref>Lavinsky D et al. FAF in patients w blunt ocular trauma. ''Acta Ophthalmol''. 2011 Feb;89(1):e89-94. [https://pubmed.ncbi.nlm.nih.gov/19906085/ 연결]</ref>. 망막하 출혈이 동반된 경우 저형광을 나타낸다. | * AF : RPE의 소실로 저형광을 나타내나 파열 경계부는 RPE 과증식으로 인해 과형광을 보일 수 있다<ref>Lavinsky D et al. FAF in patients w blunt ocular trauma. ''Acta Ophthalmol''. 2011 Feb;89(1):e89-94. [https://pubmed.ncbi.nlm.nih.gov/19906085/ 연결]</ref>. 망막하 출혈이 동반된 경우 저형광을 나타낸다. | ||
== 예후 및 합병증 == | == 예후 및 합병증 == | ||
특별한 치료 없이 보통 외상 후 2~3주 내에 자연 치유되나, 5~25%에서 맥락망막 혈관 문합, [[망막앞막]], [[장액 망막 박리]], | 특별한 치료 없이 보통 외상 후 2~3주 내에 자연 치유되나, 5~25%에서 맥락망막 혈관 문합, [[망막앞막]], [[장액 망막 박리]], CNV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치료가 고려되어야 한다. | ||
== 맥락막 신생혈관 == | == 맥락막 신생혈관 == | ||
반흔 형성의 과저에서 발생하는 장기 합병증으로 맥락막 파열의 15~30%에서 나타나며 외상 후 수 개월 또는 수 년 후에 나타날 수 있다. 중심와 바깥에 있거나 시신경 유두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증상이 없어 발견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발생률은 실제보다 낮게 보고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Secretan et al은 파열이 중심와에 가까운 경우와 길이가 길수록 맥락막 신생혈관이 더 많이 발생하며, 대부분(81.2%)이 외상 후 1년 이내에 발생하였다고 보고하였다. | 반흔 형성의 과저에서 발생하는 장기 합병증으로 맥락막 파열의 15~30%에서 나타나며 외상 후 수 개월 또는 수 년 후에 나타날 수 있다. 중심와 바깥에 있거나 시신경 유두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증상이 없어 발견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발생률은 실제보다 낮게 보고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Secretan et al은 파열이 중심와에 가까운 경우와 길이가 길수록 맥락막 신생혈관이 더 많이 발생하며, 대부분(81.2%)이 외상 후 1년 이내에 발생하였다고 보고하였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