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 전안부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300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27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독성 전안부 증후군 (toxic anterior segment syndrome; TASS)'''{{백내장}} 은 수술 후에 발생하는 무균 염증반응으로, 다양한 화학 물질이 전방 내로 유입되어 각막내피 부전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한다.
'''독성 전안부 증후군 (toxic anterior segment syndrome; TASS)'''{{백내장}} 은 수술 후에 발생하는 무균 염증반응으로<ref>Hernandez-Bogantes E et al. TASS : A review. ''Surv Ophthalmol''. 2019 Jul-Aug;64(4):463-476. [https://pubmed.ncbi.nlm.nih.gov/30703402/ 연결]</ref><ref>Park CY et al. TASS : an updated review. ''BMC Ophthalmol''. 2018 Oct 25;18(1):276. [https://pubmed.ncbi.nlm.nih.gov/30359246/ 연결]</ref>, 다양한 화학 물질이 전방 내로 유입되어 각막내피 부전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한다.
== 역사 ==
== 역사 ==
1992년 무균성 술후 안내염 (sterile postoperative endophthalmitis) 으로 처음 보고된 뒤, Monson 등에 의하여 안내염과 구분되는 현재의 이름을 얻게 되었다. 독성 전안부 증후군의 일부는 각막 내피세포에 심한 손상을 주기도 하여 독성 내피세포 파괴 증후군 (toxic endothelial cell destruction syndrome; TECDS) 으로 별도 분류하였으며, 현재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1992년 무균성 술후 안내염 (sterile postoperative endophthalmitis) 으로 처음 보고된 뒤, Monson 등에 의하여 안내염과 구분되는 현재의 이름을 얻게 되었다. 독성 전안부 증후군의 일부는 각막 내피세포에 심한 손상을 주기도 하여 독성 내피세포 파괴 증후군 (toxic endothelial cell destruction syndrome; TECDS) 으로 별도 분류하였으며, 현재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