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스테로이드) |
잔글 (→진단)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홍채-섬모체염 | * 홍채-섬모체염 | ||
== 진단 == | == 진단 == | ||
원발, 재발 HSV 눈 감염은 대부분 임상 소견으로 진단되지만 경우에 따라 바이러스 배양을 통해 확진할 수 있다. 가능한 한 빨리 24시간 이내에 진단할 수 있는 enzyme-linked 또는 shell vial culture assay가 최근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피부에 수포가 있는 경우는 진단 성공률을 높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90% 이상의 배양 양성을 | 원발, 재발 HSV 눈 감염은 대부분 임상 소견으로 진단되지만 경우에 따라 바이러스 배양을 통해 확진할 수 있다. 가능한 한 빨리 24시간 이내에 진단할 수 있는 enzyme-linked 또는 shell vial culture assay가 최근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피부에 수포가 있는 경우는 진단 성공률을 높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90% 이상의 배양 양성을 보인다. | ||
검체를 이용한 김자 염색 또는 라이트 염색은 진단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잇다. 이 경우 다핵의 거대세포 (multinucleated giant cell) 를 확인하면 HSV, VZV 감염을 강하게 의심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이 어려운 경우 면역학적 방법으로 진단에 이용할 수 있는 herpcheck ELISA, Virogenlatex agglutination, enzyme immunofiltratio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 면역 염색, PCR, 전자 현미경, DNA hybridiz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 검체를 이용한 김자 염색 또는 라이트 염색은 진단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잇다. 이 경우 다핵의 거대세포 (multinucleated giant cell) 를 확인하면 HSV, VZV 감염을 강하게 의심할 수 있다. 또한 진단이 어려운 경우 면역학적 방법으로 진단에 이용할 수 있는 herpcheck ELISA, Virogenlatex agglutination, enzyme immunofiltratio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 면역 염색, PCR, 전자 현미경, DNA hybridiz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 ||
== 치료 == | == 치료 == | ||
=== 항바이러스제 === | === 항바이러스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