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임상 소견) |
잔글 (→임상 소견)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없고 두경부, 몸통, 관절이 접히는 부위, 생식기 등에 주로 생긴다고 알려져 있으며<ref>Neff AG et al. Benign eyelid lesions. In: Yanoff M et al, eds. Ophthalmology, 4th ed. Philadelphia: Elsevier Saunders, 2014; v. 1. chap. 12.9.</ref> 상대적으로 드문 경우지만 눈꺼풀테에 생길 경우 드물게 이차적인 소포결막염, 각막염, 판누스 형성, 결막흉터, 눈물점 폐쇄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ref>WOLFE OD et al. Molluscum contagiosum and conjunctivitis ; case report. ''Eye Ear Nose Throat Mon''. 1949 Mar;28(3):129. [https://pubmed.ncbi.nlm.nih.gov/18124400/ 연결]</ref>. |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없고 두경부, 몸통, 관절이 접히는 부위, 생식기 등에 주로 생긴다고 알려져 있으며<ref>Neff AG et al. Benign eyelid lesions. In: Yanoff M et al, eds. Ophthalmology, 4th ed. Philadelphia: Elsevier Saunders, 2014; v. 1. chap. 12.9.</ref> 상대적으로 드문 경우지만 눈꺼풀테에 생길 경우 드물게 이차적인 소포결막염, 각막염, 판누스 형성, 결막흉터, 눈물점 폐쇄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ref>WOLFE OD et al. Molluscum contagiosum and conjunctivitis ; case report. ''Eye Ear Nose Throat Mon''. 1949 Mar;28(3):129. [https://pubmed.ncbi.nlm.nih.gov/18124400/ 연결]</ref>. | ||
== 진단 == | |||
물렁종 (molluscum) 병변을 도말을 통해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세포 내 큰 세포질 내 봉입체의 파열, 중심 공간으로의 물질 분비 등의 소견을 보이면 진단할 수 있다. | |||
== 경과 == | == 경과 == | ||
대개 2~3개월 내에 저절로 소실된다. | 대개 2~3개월 내에 저절로 소실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