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 유두 드루젠: 두 판 사이의 차이

6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시신경 유두 드루젠 (optic disc drusen; ODD)'''{{신경안과}}{{망막}} 은 1856년 Müller가 병리조직학 연구를 통해 시신경 유두의 concretion으로 처음 보고하였고 이후 Leibrich가 1968년에 시신경 유두 드루젠 이라고 하였다.
'''시신경 유두 드루젠 (optic disc drusen; ODD)'''{{신경안과}}{{망막}} 은 1856년 Müller가 병리조직학 연구를 통해 시신경 유두의 concretion으로 처음 보고하였고 이후 Leibrich가 1968년에 시신경 유두 드루젠 이라고 하였다. ODD는 칼슘 성분이 포함된 acellular concretion 인데, 아미노산, 핵산, 뮤코폴리사카라이드, 철도 포함되어 있다.
 
칼슘 성분이 포함된 acellular concretion 인데, 아미노산, 핵산, 뮤코폴리사카라이드, 철도 포함되어 있다.
== 발생 기전 ==
== 발생 기전 ==
시신경관 또는 [[시신경 유두]]와 혈관의 형성 이상으로 인해 사상판이 좁아지고, 그 결과 시신경 축삭이 안구에서 나가기 힘들어져 발생한다. [[시신경 유두]]가 작고 유두 함몰이 없으면 시신경 축삭이 심하게 밀집되어 분포하여 축삭 이동에 장해가 생기고 그 결과 축삭의 대사 이상으로 인해 축삭내 사립체에 칼슘 결정체가 침착된다. 결국 축삭이 파열되어 사립체가 세포 밖으로 나오게 되고 칼슘이 점점 더 많이 침착되는데, 이렇게 석회화된 사립체가 응축되어 드루젠을 형성하게 된다.
시신경관 또는 [[시신경 유두]]와 혈관의 형성 이상으로 인해 사상판이 좁아지고, 그 결과 시신경 축삭이 안구에서 나가기 힘들어져 발생한다. [[시신경 유두]]가 작고 유두 함몰이 없으면 시신경 축삭이 심하게 밀집되어 분포하여 축삭 이동에 장해가 생기고 그 결과 축삭의 대사 이상으로 인해 축삭내 사립체에 칼슘 결정체가 침착된다. 결국 축삭이 파열되어 사립체가 세포 밖으로 나오게 되고 칼슘이 점점 더 많이 침착되는데, 이렇게 석회화된 사립체가 응축되어 드루젠을 형성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