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역학)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시신경관 또는 [[시신경 유두]]와 혈관의 형성 이상으로 인해 사상판이 좁아지고, 그 결과 시신경 축삭이 안구에서 나가기 힘들어져 발생한다. [[시신경 유두]]가 작고 유두 함몰이 없으면 시신경 축삭이 심하게 밀집되어 분포하여 축삭 이동에 장해가 생기고 그 결과 축삭의 대사 이상으로 인해 축삭내 사립체에 칼슘 결정체가 침착된다. 결국 축삭이 파열되어 사립체가 세포 밖으로 나오게 되고 칼슘이 점점 더 많이 침착되는데, 이렇게 석회화된 사립체가 응축되어 드루젠을 형성하게 된다. | 시신경관 또는 [[시신경 유두]]와 혈관의 형성 이상으로 인해 사상판이 좁아지고, 그 결과 시신경 축삭이 안구에서 나가기 힘들어져 발생한다. [[시신경 유두]]가 작고 유두 함몰이 없으면 시신경 축삭이 심하게 밀집되어 분포하여 축삭 이동에 장해가 생기고 그 결과 축삭의 대사 이상으로 인해 축삭내 사립체에 칼슘 결정체가 침착된다. 결국 축삭이 파열되어 사립체가 세포 밖으로 나오게 되고 칼슘이 점점 더 많이 침착되는데, 이렇게 석회화된 사립체가 응축되어 드루젠을 형성하게 된다. | ||
== 역학 == | == 역학 == | ||
유병률은 카데바를 이용한 조직학적 연구에서 약 2.4% 였으며, OCT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약 1.0% 였다. 약 75%에서 두 눈에 발생하며 많게는 91.2%까지 보고되어 있다. 남녀 발생률에 차이가 없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여성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유병률은 카데바를 이용한 조직학적 연구에서 약 2.4% 였으며<ref>Lorentzen SE. Drusen of the optic disk. A clinical and genetic study. ''Acta Ophthalmol (Copenh)''. 1966:Suppl 90:1-180. [https://pubmed.ncbi.nlm.nih.gov/6012937/ 연결]</ref>, OCT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약 1.0% 였다<ref>You QS et al. Prevalence of ODD in an adult Chinese population : the Beijing Eye Study. ''Acta Ophthalmol''. 2009 Mar;87(2):227-8. [https://pubmed.ncbi.nlm.nih.gov/18537931/ 연결]</ref>. 약 75%에서 두 눈에 발생하며 많게는 91.2%까지 보고되어 있다<ref>Auw-Haedrich C et al. Optic disk drusen. ''Surv Ophthalmol''. 2002 Nov-Dec;47(6):515-32. [https://pubmed.ncbi.nlm.nih.gov/12504737/ 연결]</ref>. 남녀 발생률에 차이가 없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여성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분류 == | == 분류 == | ||
* 유두 표면에 위치한 드루젠 : 유두 위 또는 주위에 연한 노란색으로 둥글고 약간 불규칙하에 튀어나와 있으며 다양한 크기로 흩어져 있거나 둥글게 뭉쳐 있다. 때로는 유두 표면 바로 아래에 드루젠이 있어 간접 불빛을 받아 반짝이기도 한다. | * 유두 표면에 위치한 드루젠 : 유두 위 또는 주위에 연한 노란색으로 둥글고 약간 불규칙하에 튀어나와 있으며 다양한 크기로 흩어져 있거나 둥글게 뭉쳐 있다. 때로는 유두 표면 바로 아래에 드루젠이 있어 간접 불빛을 받아 반짝이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