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안경) |
잔글 (→안경)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치료 == | == 치료 == | ||
=== [[안경]] === | === [[안경]] === | ||
근시는 근거리에서는 선명한 상을 보기 때문에 약시를 덜 유발한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 이전 0.5 이상의 시력은 교정이 필요하지 않다. | 근시는 근거리에서는 선명한 상을 보기 때문에 약시를 덜 유발한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 이전 0.5 이상의 시력은 교정이 필요하지 않다. 과교정을 예방하기 위해 조절 마비 굴절 검사 (CR) 가 필요하며, 4m 시력표로 도수를 정한 경우 0.25 D 정도 적게 처방한다.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표.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 굴절 교정 지침<ref>Wallace DK et al; AAO Preferred Practice Pattern Pediatric Ophthalmology/Strabismus Panel. Pediatric Eye Evaluations Preferred Practice Pattern®: I. Vision Screening in the Primary Care and Community Setting; II. Comprehensive Ophthalmic Examination. ''Ophthalmology''. 2018 Jan;125(1):P184-P227. [https://pubmed.ncbi.nlm.nih.gov/29108745/ 연결]</ref> | |+표.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 굴절 교정 지침<ref>Wallace DK et al; AAO Preferred Practice Pattern Pediatric Ophthalmology/Strabismus Panel. Pediatric Eye Evaluations Preferred Practice Pattern®: I. Vision Screening in the Primary Care and Community Setting; II. Comprehensive Ophthalmic Examination. ''Ophthalmology''. 2018 Jan;125(1):P184-P227. [https://pubmed.ncbi.nlm.nih.gov/29108745/ 연결]</ref>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근시 : 사시가 없는 부등시||≥ 4.00 D||≥ 3.00 D||≥ 3.00 D||≥ 2.50 D | |근시 : 사시가 없는 부등시||≥ 4.00 D||≥ 3.00 D||≥ 3.00 D||≥ 2.50 D | ||
|} | |} | ||
=== 이중 초점 안경 === | === 이중 초점 안경 === | ||
근시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최초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이는 근시가 광학적 흐려짐 (optical blur) 을 유발하는 지속적인 조절에 대한 반응이라는 가정에 기초하였다. | 근시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최초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이는 근시가 광학적 흐려짐 (optical blur) 을 유발하는 지속적인 조절에 대한 반응이라는 가정에 기초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