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부작용)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항무스카린 제제로서 아세틸콜린에 경쟁적 길항 작용을 하여 홍채 수축 근육과 모양체 근육의 마비를 유발하여 산동과 조절 마비의 작용을 나타낸다<ref>Mirshahi A et al. Acute psychotic reaction caused by topical cyclopentolate use for CR before refractive surgery :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CRS''. 2003 May;29(5):1026-30. [https://pubmed.ncbi.nlm.nih.gov/12781295/ 연결]</ref>. | 항무스카린 제제로서 아세틸콜린에 경쟁적 길항 작용을 하여 홍채 수축 근육과 모양체 근육의 마비를 유발하여 산동과 조절 마비의 작용을 나타낸다<ref>Mirshahi A et al. Acute psychotic reaction caused by topical cyclopentolate use for CR before refractive surgery :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CRS''. 2003 May;29(5):1026-30. [https://pubmed.ncbi.nlm.nih.gov/12781295/ 연결]</ref>. | ||
== 부작용 == | == 부작용 == | ||
점안 시 안구 뿐만 아니라 결막 및 코눈물관, 비강을 통한 전신적인 흡수로 체온 변화, 안면 홍조, 중추 신경계 이상 | 점안 시 안구 뿐만 아니라 결막 및 코눈물관, 비강을 통한 전신적인 흡수로 | ||
* 체온 변화, 안면 홍조 : 항무스카린 제제가 직접 뇌의 체온 중추에 작용하여 체내 열 생산과 열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본다. 그리고 신체 말단의 땀샘에 작용하여 땀 분비를 저해함으로써 국소적인 체온 상승을 유발하며 안면 홍조는 이와 같은 기전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한다<ref>Laszlo G. Pharmacology of antimuscarinic agents. Vol. 47. CRC Press, 1997;136-7.</ref>. | |||
* 중추 신경계 이상 : 정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뇌-혈관 장벽을 통과한 항무스카린 제제가 뇌의 무스카린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ref>Staskin DR et al. Anticholinergics and CNS effects : are we confused? ''Rev Urol''. 2007 Fall;9(4):191-6. [https://pubmed.ncbi.nlm.nih.gov/18231615/ 연결]</ref>. | |||
등의 부작용이 증례 보고된 바 있다<ref>Bhatia SS et al. Systemic toxicity w cyclopentolate eye drops. ''Indian Pediatr''. 2000 Mar;37(3):329-31. [https://pubmed.ncbi.nlm.nih.gov/10750080/ 연결]</ref><ref>Elibol O et al. The influence of drop size of cyclopentolate, phenylephrine and tropicamide on pupil dilatation and systemic S/E in infants. ''Acta Ophthalmol Scand''. 1997 Apr;75(2):178-80. [https://pubmed.ncbi.nlm.nih.gov/9197568/ 연결]</ref>. | |||
== 종류 == | == 종류 ==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