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측정 방법)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출처=JKOS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387 연결] | |출처=JKOS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387 연결] | ||
}} | }} | ||
MMP-9 의 농도가 40 ng/mL 이상인 경우 양성의 결과가 나오며, 검사 결과 창에서 빨간 선의 선명도는 눈물 내 MMP-9의 농도와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Messmer EM et al. MMP-9 Testing in D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Point-of-Care Immunoassay. ''Ophthalmology''. 2016 Nov;123(11):2300-2308. [https://pubmed.ncbi.nlm.nih.gov/27665213/ 연결]</ref><ref>Lanza NL et al. The MMP-9 Point-of-Care Test in Dry Eye. ''Ocul Surf''. 2016 Apr;14(2):189-95. [https://pubmed.ncbi.nlm.nih.gov/26850527/ 연결]</ref>. | 검사 결과는 창에 나타나는 파란색 대조 선과 빨간색 결과 선으로 표시된다. 파란색의 대조 선이 나타난 경우 검사가 올바르게 시행되었다고 판단하고, 나타나지 않은 경우 검사가 잘못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MMP-9 의 농도가 40 ng/mL 이상인 경우 양성의 결과가 나오며, 검사 결과 창에서 빨간 선의 선명도는 눈물 내 MMP-9의 농도와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Messmer EM et al. MMP-9 Testing in D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Point-of-Care Immunoassay. ''Ophthalmology''. 2016 Nov;123(11):2300-2308. [https://pubmed.ncbi.nlm.nih.gov/27665213/ 연결]</ref>. | ||
== 단점 == | |||
정량 검사가 아닌 정성 검사이기 때문에 검사 결과 창의 빨간 선이 선명하지 않은 경우 검사자 간 결과 해석이 상이할 수 있다<ref>Lanza NL et al. The MMP-9 Point-of-Care Test in Dry Eye. ''Ocul Surf''. 2016 Apr;14(2):189-95. [https://pubmed.ncbi.nlm.nih.gov/26850527/ 연결]</ref>.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