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안압 황반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71 바이트 제거됨 ,  2022년 4월 13일 (수)
잔글
18번째 줄: 18번째 줄: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망막, 맥락막내 주름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질환들을 감별해야 하며 환자의 병력과 안압, 수술 병력 등을 통하여 비교적 쉽게 감별할 수 있다. [[저안압]]이 동반되지 않는 특발성의 망맥락막의 주름은 주로 원시인 경우 발생될 수 있으며 안구 후부 내 종앙에 의한 주름, 그리고 공막의 염증, 공막 돌륭술, 맥락막 종양, 맥락막 신생혈관, 국소적 망맥락막 반흔, 시신경 유두 이상 등에 의해서도 망맥락막 내 주름이 빌생할 수 있어 감별해야 한다.
망막, 맥락막의 주름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질환들을 감별해야 하며 환자의 과거 내과적 병력 및 수술 병력, 안압 등을 통해 감별할 수 있다<ref>Besirli CG et al. UES and hypotony maculopathy. In: Schachat A, ed. Ryan's Retina, 6th ed. Philadelphia: Elsevier, 2018</ref>.
* 특발성 맥락망막 주름
* 눈 뒤 종양
* 공막의 염증, 공막 돌륭술
* 맥락막 종양, 맥락막 신생혈관
* 국소 맥락망막 반흔
* 시신경 유두 질환
* 망막 주름
 
== 치료 ==
== 치료 ==
근본적인 원인을 교정하고 정상 안압을 회복해야 한다. 안압을 가능한 빨리 정상화시켜 영구적인 망막의 기능 장애 및 시력 손실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력 회복의 예후는 저안압과 맥락망막의 주름이 지속된 기간에 따라 다르다. 맥락망막의 주름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치료 후 안압이 정상화되더라도 황반의 비가역적 구조 변화로 인해 시력 회복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
근본적인 원인을 교정하고 정상 안압을 회복해야 한다. 안압을 가능한 빨리 정상화시켜 영구적인 망막의 기능 장애 및 시력 손실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력 회복의 예후는 저안압과 맥락망막의 주름이 지속된 기간에 따라 다르다. 맥락망막의 주름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치료 후 안압이 정상화되더라도 황반의 비가역적 구조 변화로 인해 시력 회복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