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ultra-widefield FA를 시행한 연구애서 주변부 유리체 견인에 의한 주변부 혈관 이상을 원인으로 생각하기도 하며<ref>Orlin A et al. Ultra-widefield FA of WWOP. ''Clin Ophthalmol''. 2013;7:959-64. [https://pubmed.ncbi.nlm.nih.gov/23737658/ 연결]</ref>, 0CT 연구에서는 밍막외층의 과반사 소견을 근거로 이러한 병변은 유리체 또는 망막 내측의 문제가 아닌 망막외층의 변화에 따른 이상으로 주장하기도 하였다. | ultra-widefield FA를 시행한 연구애서 주변부 유리체 견인에 의한 주변부 혈관 이상을 원인으로 생각하기도 하며<ref>Orlin A et al. Ultra-widefield FA of WWOP. ''Clin Ophthalmol''. 2013;7:959-64. [https://pubmed.ncbi.nlm.nih.gov/23737658/ 연결]</ref>, 0CT 연구에서는 밍막외층의 과반사 소견을 근거로 이러한 병변은 유리체 또는 망막 내측의 문제가 아닌 망막외층의 변화에 따른 이상으로 주장하기도 하였다. | ||
== 중요성 == | |||
경우에 따라 후유리체 박리, 격자 변성, 낭포 망막술, 망막 열공 등의 다른 망막 병변 주위에서 관찰되기도 하지만 직접 유리체-망막 병변을 일으키지는 않아 임상적인 가치는 크지 않은 변성으로 생각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