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 두 판 사이의 차이

299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3일 (수)
잔글
11번째 줄: 11번째 줄:


=== 유리체 피질 ===
=== 유리체 피질 ===
중심 유리체를 둘러싸는 얇은 (100~300㎛) 막이며, 콜라겐 농도가 가장 높다.
중심유리체를 둘러싸는 껍질 같은 막 형태의 구조물로, 두께가 100-300㎛ (후유리체피질 100~110㎛) 정도로 균일하고, 콜라겐 농도가 높고, 전부 및 후부 유리체 피질로 나뉘어진다. 유리체 피질 내에는 유리체세포가 주로 포함되어 있는데,내경계막에서 20~50㎛에 위치한 유리체 피질층에 주로 위치한다.
* 앞유리체 피질 : 유리체 기저 앞쪽에서부터 수정체 후면을 가로지르며 위치하고, 그 앞쪽면은 방수와 직접 접촉한다.
* 앞유리체 피질 : 유리체 기저 앞쪽에서부터 수정체 후면을 가로지르며 위치하고, 그 앞쪽면은 방수와 직접 접촉한다.
* 뒤유리체 피질 (두께 100~110㎛) : 유리체 기저 뒤쪽의 망막 표면에 위치하며 [[내경계막]]과 유착되어 있다.
* 뒤유리체 피질 (두께 100~110㎛) : 유리체 기저 뒤쪽의 망막 표면에 위치하며 [[내경계막]]과 유착되어 있다.
시신경 유두 앞에는 유리체 피질이 없으며, 황반 앞에는 유리체 피질이 얇다.
시신경 유두 앞에는 유리체 피질이 없으며, 황반 앞에는 유리체 피질이 얇다.
== 기능 ==
== 기능 ==
빛이 망막에 잘 도달하도록 유리체는 투명해야 하는데, 이는 유리체 내에 거대 분자와 가용성 단백질의 농도가 낮고, 콜라겐 섬유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중심부에서는 낮은 농도로 시축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어서 가능하다.
빛이 망막에 잘 도달하도록 유리체는 투명해야 하는데, 이는 유리체 내에 거대 분자와 가용성 단백질의 농도가 낮고, 콜라겐 섬유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중심부에서는 낮은 농도로 시축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어서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