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히알루론산)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유리체내의 대표적인 glycosaminoglycan (GAG) 으로는 유리체 GAG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히알루론산과 chondroitin sulfate, heparan sulfate 가 있다. 히알루론산을 제외한 다른 GAG는 모두 단백과 연결되어 proteoglycan 형태로 존재한다. | 유리체내의 대표적인 glycosaminoglycan (GAG) 으로는 유리체 GAG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히알루론산과 chondroitin sulfate, heparan sulfate 가 있다. 히알루론산을 제외한 다른 GAG는 모두 단백과 연결되어 proteoglycan 형태로 존재한다. | ||
=== 히알루론산 === | === 히알루론산 === | ||
히알루론산은 유리체세포, 섬모체, 뭘러세포 등에서 생성 된다. 유리체의 수화된 정도는 히알루론산 중합체에 의해 좌우된다. 히알루론산 중합체는 높은 음전하를 지니며, 이는 쌍극인 물분자와 일정 한공간 배치를 유지하고 이를 통해 스펀지처럼 물을 담고 있게 된다. 이때 물은 화학적으로만 히알루론산과 결합하는 것은 아니며 히알루론산 중합체의 코일 형태의 구조에 물이 갇혀 있는 형태로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당뇨처럼 유리체내의 이온이나 수분양이 변화할 수 있는 상태에서는, 콜라겐 사이에 갇혀 있는 히알루론산이 질환 상태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야기하고 이러한 부피 변화에 따른 물리적 인 힘이 시신경, 망막, 망막 혈관 등 안내구조물에 직접 영향을 끼친다. | |||
철성분이나 단백질 같은 양전하 물질을 주입하여 히알루론산 중합체를 변화시키면 유리체의 수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대사과정이나 빛에 의해 생성된 자유 라디칼은 히알루론산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히알루론산과 proteoglycan 및 콜라겐과의 관계에 영향을 끼쳐 유리체 젤에서 히알루론산의 분리를 야기한다. 이후 콜라겐 분자는 서로 간 교차결합을 통해 큰 섬유 묶음으로 뭉쳐지고, 분리된 히알루론산은 액화 유리체의 lacuna 속에 차게 되며, 친수적인 히알루론산이 물을 당기어 액화되게 된다. 이는 유리체 구조의 파괴와 붕괴를 가지고 오게 되며, 이러한 변화는 성인 모두에서 어느 정도는 발생하게 된다. | |||
=== chondroitin sulfate (CS) === | === chondroitin sulfate (CS) === | ||
유리체내 CS는 versican 형태와 9형 콜라겐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로 존재한다. 9형 콜라겐에 붙어 proteoglycan을 형성하는 CS의 경우는 콜라겐 섬유 간에 사다리 모양의 결합을 유도하여, opticin과 마찬가지로 콜라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한다. 유리체내 CS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versican은 히알루론산 및 microfibrillar protdin과 연결되어 유리체젤의 안정적인 모양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Versican 유전자인 VCAN 돌연변이는 과도한 유리체 액화가 특징인 [[와그너 증후군]]을 일으킨다. | 유리체내 CS는 versican 형태와 9형 콜라겐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로 존재한다. 9형 콜라겐에 붙어 proteoglycan을 형성하는 CS의 경우는 콜라겐 섬유 간에 사다리 모양의 결합을 유도하여, opticin과 마찬가지로 콜라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한다. 유리체내 CS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versican은 히알루론산 및 microfibrillar protdin과 연결되어 유리체젤의 안정적인 모양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Versican 유전자인 VCAN 돌연변이는 과도한 유리체 액화가 특징인 [[와그너 증후군]]을 일으킨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