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구성: 두 판 사이의 차이

290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4일 (목)
잔글
21번째 줄: 21번째 줄:
=== chondroitin sulfate (CS) ===
=== chondroitin sulfate (CS) ===
유리체내 CS는 versican 형태와 9형 콜라겐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로 존재한다. 9형 콜라겐에 붙어 proteoglycan을 형성하는 CS의 경우는 콜라겐 섬유 간에 사다리 모양의 결합을 유도하여, opticin과 마찬가지로 콜라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한다. 유리체내 CS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versican은 히알루론산 및 microfibrillar protdin과 연결되어 유리체젤의 안정적인 모양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Versican 유전자인 VCAN 돌연변이는 과도한 유리체 액화가 특징인 [[와그너 증후군]]을 일으킨다.
유리체내 CS는 versican 형태와 9형 콜라겐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로 존재한다. 9형 콜라겐에 붙어 proteoglycan을 형성하는 CS의 경우는 콜라겐 섬유 간에 사다리 모양의 결합을 유도하여, opticin과 마찬가지로 콜라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한다. 유리체내 CS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versican은 히알루론산 및 microfibrillar protdin과 연결되어 유리체젤의 안정적인 모양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Versican 유전자인 VCAN 돌연변이는 과도한 유리체 액화가 특징인 [[와그너 증후군]]을 일으킨다.
=== heparin sulfate (HS) ===
안내에서 주로 내경계막등 기저막의 주요 성분이며, 일반적으로 내경계막에 존재하는 10, 8형 콜라겐과 유리체 피질에 존재하는 opticin을 연결하여 유리체-망막 유착에 기여한다.
== 저분자량 용질 ==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