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구성: 두 판 사이의 차이

2,210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4일 (목)
잔글
 
24번째 줄: 24번째 줄:
안내에서 주로 내경계막등 기저막의 주요 성분이며, 일반적으로 내경계막에 존재하는 10, 8형 콜라겐과 유리체 피질에 존재하는 opticin을 연결하여 유리체-망막 유착에 기여한다.
안내에서 주로 내경계막등 기저막의 주요 성분이며, 일반적으로 내경계막에 존재하는 10, 8형 콜라겐과 유리체 피질에 존재하는 opticin을 연결하여 유리체-망막 유착에 기여한다.
== 저분자량 용질 ==
== 저분자량 용질 ==
== 유리체세포 ==
유리체세포 (hyalocyte) 는 10~15 크기의 타원형 혹은 방추형 형태의 단핵 세포로, 유리체 피질에 주로 존재하는데,내경계막 에서 20~50㎛ 부위 (평면부에서는 섬모체 상피세포의 20~50㎛ 부위) 의 유리체 피질층에 주로 존재한다. 안구내 부위별로는 유리체 기저부의 피질에 가장 많으며, 후극부, 적도부 순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중심 유리체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유리체세포는 세포외 기질의 생성과 유리체내 면역 및 염증 작용의 조절 등에 관여한다. 유리체세포는 히알루론산, glycoprotein, collagen, enzyme 등을 생성한다. 또한 탐식 작용도 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배양된 유리체세포에서 세포내 nonspecific esterase, phagosome, 세포표면의 IgG 및 보체의 표면수용체 등의 특징을 통해 유리체세포는 단핵 식세포계(mononucl的r phagocyte system)에서 유래된 성숙 세포 형태의 하나로 생각되기도 한다. 히알루론산이 이러 한 유리체세포의 탐식작용을 조절하는 물질 중 하나로 알 려져 있다. 그리고 유리체세포는 유리체내 항원의 유입 시 면역반응을 가동시키는 역할도 한다.
비정상적인 후유리체박리 상태 또는 유리체층간분리 상태에서 망막에 남은 유리체세포의 증식에 의한 막생성 으로 망막전막 등이 발생하기도 하며, 유리체세포가 여러 cytokine의 작용을 받아 혈액 및 망막으로부터 다양한 교세 포(glial celD의 유입을 유도하여 유리체망막의 접선방향의 견인을 유발하는 세포 증식 등을 야기할수 있다
기타 섬유세포, 섬유아세포나 대식세포 등도 간헐적으로 유리체 피질에서 발견되며,병적인 상태에서 소교세포(microglia) 또한 망막에서 이주하여 유리체에서 발견된다. 섬유아세포는 콜라겐 생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유리체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들이 존재하는 유리체 피질은 유리체의 각종 대사 작용의 중심 부위로 보고 있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