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부 망막 함요: 두 판 사이의 차이

27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4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주변부 망막 함요 (peripheral retinal excavation; vitreous base excavation) 는 "망막 주변부의 둥근 망막 함몰 소견으로, 망막 톱니둘례에서 *0~7.2mm 후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주변부 망막 함요 (peripheral retinal excavation; vitreous base excavation) 는 "망막 주변부의 둥근 망막 함몰 소견으로, 망막 톱니둘례에서 *0~7.2mm 후부에 위치한다.
'''주변부 망막 함요 (peripheral retinal excavation; vitreous base excavation)'''{{망막}} 는 망막 주변부의 둥근 망막 함몰 소견으로, 망막 톱니둘례에서 1.0~7.2mm 후부에 위치한다.
== 역학 ==
== 역학 ==
사체안에서 10%에서 관찰되고 이 중 43%에서 양안성이다. 60%에서 경선 주름 및 경선 복합체의 뒤쪽에 경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사체안에서 10%에서 관찰되고 이 중 43%에서 양안성이다. 60%에서 경선 주름 및 경선 복합체의 뒤쪽에 경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6번째 줄: 6번째 줄:
== 경과 ==
== 경과 ==
주변부 망막 함요 단독으로는 동반된 망막 열공이 발견되지는 않으나, 경선 주름, 경선 복합제 등과 동반된 경우는 망막 열공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관찰은 필요하다.
주변부 망막 함요 단독으로는 동반된 망막 열공이 발견되지는 않으나, 경선 주름, 경선 복합제 등과 동반된 경우는 망막 열공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관찰은 필요하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