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식 유리체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47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5일 (금)
잔글
50번째 줄: 50번째 줄:


=== 항암제 ===
=== 항암제 ===
PVR의 증식성 성질에 근거하여 증식 세포를 목표로 하는 항암제가 PVR의 확장을 제한하는 또 다른 접근법이 될 수 있다. 여러 약물 중에서 5-FU31-32와 daunorubicin<ref>Wiedemann P et al. Adjunctive daunorubicin in the treatment of PVR : results of a multicenter clinical trial. Daunomycin Study Group. ''AJO''. 1998 Oct;126(4):550-9. [https://pubmed.ncbi.nlm.nih.gov/9780100/ 연결]</ref><ref>Shinohara K et al. Efficacy of daunorubicin encapsulated in liposome for the treatment of PVR.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2003 Jul-Aug;34(4):299-305. [https://pubmed.ncbi.nlm.nih.gov/12875458/ 연결]</ref> 이 가장 광범위하게 연구되 었다. 하지만 치료 성공률 개선 효과를 입증하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항암제 사용에서 가장 중요한 장애는 바로 전 신독성 위험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PVR의 증식성 성질에 근거하여 증식 세포를 목표로 하는 항암제가 PVR의 확장을 제한하는 또 다른 접근법이 될 수 있다. 여러 약물 중에서 5-FU<ref>Asaria RH et al. Adjuvant 5-FU and heparin prevents PVR : Results from a randomized, double-blind, controlled clinical trial. ''Ophthalmology''. 2001 Jul;108(7):1179-83. [https://pubmed.ncbi.nlm.nih.gov/11425671/ 연결]</ref><ref>Garcia RA et al. Combined 5-FU, LMWH, and SO in the management of complicated RD w PVR grade C.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2007 Jul-Aug;38(4):276-82. [https://pubmed.ncbi.nlm.nih.gov/17674917/ 연결]</ref>와 daunorubicin<ref>Wiedemann P et al. Adjunctive daunorubicin in the treatment of PVR : results of a multicenter clinical trial. Daunomycin Study Group. ''AJO''. 1998 Oct;126(4):550-9. [https://pubmed.ncbi.nlm.nih.gov/9780100/ 연결]</ref><ref>Shinohara K et al. Efficacy of daunorubicin encapsulated in liposome for the treatment of PVR.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2003 Jul-Aug;34(4):299-305. [https://pubmed.ncbi.nlm.nih.gov/12875458/ 연결]</ref> 이 가장 광범위하게 연구되 었다. 하지만 치료 성공률 개선 효과를 입증하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항암제 사용에서 가장 중요한 장애는 바로 전 신독성 위험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 기타 ===
=== 기타 ===
전임상 모델에서 긍정적 결과를 보였던 많은 약물들이 대규모 전향적 사람 대상 임상연구에서는 대부분 효과를 증명하는 데 실패하였는데, 부적합한 동물실험 모델, 질병 병태생리에 대한 이해 부족 그리고 현행 분류체계로는 반영되지 않는 질병 자체의 이질성 등을 실패의 원인으로 추정할 수 있다.
전임상 모델에서 긍정적 결과를 보였던 많은 약물들이 대규모 전향적 사람 대상 임상연구에서는 대부분 효과를 증명하는 데 실패하였는데, 부적합한 동물실험 모델, 질병 병태생리에 대한 이해 부족 그리고 현행 분류체계로는 반영되지 않는 질병 자체의 이질성 등을 실패의 원인으로 추정할 수 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