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식 유리체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54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5일 (금)
잔글
잔글 (→‎분류)
15번째 줄: 15번째 줄:
<span style='color:blue;'>거대 망막 열공, 유리체 출혈(수술 전, 중, 후), 2사분면보다 넓은 광범위 망막 박리, 술 후 맥락막 박리, 포도막염 또는 외상에 의해 염증이 증가한 경우, 다발성 또는 큰 열공에 과도한 냉동 응고술을 한 경우 그리고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이 이미 발생한 눈</span>과 같은 위험 요소를 가진 경우에는 수술 후 발생 또는 악화 여부를 면밀하게 관찰해야 한다.<br />냉동응고술은 망막 열공을 통해 망막 색소상피를 유리체강내로 퍼지게 하므로 여러 번의 냉동응고술과 냉동응고술 후 지나친 공막 누르기는 피해야 한다.
<span style='color:blue;'>거대 망막 열공, 유리체 출혈(수술 전, 중, 후), 2사분면보다 넓은 광범위 망막 박리, 술 후 맥락막 박리, 포도막염 또는 외상에 의해 염증이 증가한 경우, 다발성 또는 큰 열공에 과도한 냉동 응고술을 한 경우 그리고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이 이미 발생한 눈</span>과 같은 위험 요소를 가진 경우에는 수술 후 발생 또는 악화 여부를 면밀하게 관찰해야 한다.<br />냉동응고술은 망막 열공을 통해 망막 색소상피를 유리체강내로 퍼지게 하므로 여러 번의 냉동응고술과 냉동응고술 후 지나친 공막 누르기는 피해야 한다.
== 분류 ==
== 분류 ==
1989년 실리콘 연구 그룹(the Silicone Study Group)에서 분류법을 개정하였고, 1991년 현재의 분류법으로 일부 수정하였다. 망막 형태 변화의 심한 정도, 망막앞, 망막하 증식의 위치와 범위가 분류의 중요 요소이다.
1989년 실리콘 연구 그룹(the Silicone Study Group)에서 분류법을 개정하였고, 1991년 현재의 분류법으로 일부 수정하였다<ref>Machemer R et al. An updated classification of RD w PVR. ''AJO''. 1991 Aug 15;112(2):159-65. [https://pubmed.ncbi.nlm.nih.gov/1867299/ 연결]</ref>. 망막 형태 변화의 심한 정도, 망막앞, 망막하 증식의 위치와 범위가 분류의 중요 요소이다.
* A 단계 : 유리체 흐림과 세포가 존재하는 경우로 제한한다.
* A 단계 : 유리체 흐림과 세포가 존재하는 경우로 제한한다.
* B 단계 : 망막 열공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거나 말려 있고, 내망막 표면 주름이 있는 경우로 무증상의 수축을 의미한다.
* B 단계 : 망막 열공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거나 말려 있고, 내망막 표면 주름이 있는 경우로 무증상의 수축을 의미한다.
22번째 줄: 22번째 줄:
** Cp 단계 : 적도부보다 뒷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 Cp 단계 : 적도부보다 뒷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침범 범위를 시간 숫자(1~12)로 표시한다. 그러나 분류 체계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실제 임상에서는 드물게 사용되고 있으며, 연구에서도 통일되어 이용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침범 범위를 시간 숫자(1~12)로 표시한다. 그러나 분류 체계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실제 임상에서는 드물게 사용되고 있으며, 연구에서도 통일되어 이용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 조직 병리 ==
== 조직 병리 ==
수술 시 제거된 증식막의 주된 세포들에는 임상 양상에 따라 차이가 있다. 앞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에서는 모양체의 무색소상피와 색소상피, 혈관 내피세포, 섬유소 등이, 뒤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에서는 망막 색소상피, 교세포, 성상세포, 대식세포 등이 주로 관찰된다.<br />수술 중 제거한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막은 엉켜있는 세포들 및 관련된 세포외 기질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엄밀하게 얘기하면 막이라는 표현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 병변의 구성 성분들이 신경 망막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거나 또는 신경망막 안으로 겹쳐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후자의 경우 수술 중 제거할 수 없는 막 또는 딱딱해진 망막의 원인이 된다.
수술 시 제거된 증식막의 주된 세포들에는 임상 양상에 따라 차이가 있다. 앞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에서는 모양체의 무색소상피와 색소상피, 혈관 내피세포, 섬유소 등이, 뒤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에서는 망막 색소상피, 교세포, 성상세포, 대식세포 등이 주로 관찰된다.<br />수술 중 제거한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막은 엉켜있는 세포들 및 관련된 세포외 기질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엄밀하게 얘기하면 막이라는 표현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 병변의 구성 성분들이 신경 망막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거나 또는 신경망막 안으로 겹쳐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후자의 경우 수술 중 제거할 수 없는 막 또는 딱딱해진 망막의 원인이 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