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발생 기전)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유리체의 액화와 PVD의 정도는 모두 나이와 관련이 있다<ref name=r9>Steinberg RH. Research update : report from a workshop on cell biology of RD. ''Exp Eye Res''. 1986 Nov;43(5):695-706. [https://pubmed.ncbi.nlm.nih.gov/3542541/ 연결]</ref>. 액화된 유리체는 40세 이상인 환자의 90% 이상에서 세극등 검사로 확인할 수 있다<ref>Gonin J. Pathogenie et anatomie pathologique des decollements retiniens. ''Bull Mem Soc Ophthalmol'' 1920;33:1.</ref>. PVD는 60~90세 환자의 27%에서 발견되고 70세 이상의 63%에서 발견된다<ref name=r9 />. | 유리체의 액화와 PVD의 정도는 모두 나이와 관련이 있다<ref name=r9>Steinberg RH. Research update : report from a workshop on cell biology of RD. ''Exp Eye Res''. 1986 Nov;43(5):695-706. [https://pubmed.ncbi.nlm.nih.gov/3542541/ 연결]</ref>. 액화된 유리체는 40세 이상인 환자의 90% 이상에서 세극등 검사로 확인할 수 있다<ref>Gonin J. Pathogenie et anatomie pathologique des decollements retiniens. ''Bull Mem Soc Ophthalmol'' 1920;33:1.</ref>. PVD는 60~90세 환자의 27%에서 발견되고 70세 이상의 63%에서 발견된다<ref name=r9 />. | ||
== 원인 == | |||
=== 후유리체 박리 === | |||
=== 망막 열공 === | |||
=== 근시 === | |||
=== 외상 및 수술 === | |||
=== 맥락망막 결손 === | |||
맥락막이나 망막 결손증의 바깥이나 안쪽에서 망막 열공이 생겨 RRD가 생길 수 있다. 발견되지 않은 망막 열공의 빈도는 매우 높다. 망막박리가 수정체 결손증의 합병증으로도 생길 수 있다. 이때는 주로 거대 망막 열공이 흔하다. | |||
=== 노인성 망막 층간분리 === | |||
망막 층간분리증의 두 종류 중에 전형적 퇴행성 망막층간 분리증 (typical degenerative retinoschisis) 보다는 망상 퇴행성 망막 층간분리증 (reticular degenerative retinoshcisis) 에서 신경망막 외층에 열공이 생길 위험성이 높다.31 그러나 이러한 열공은 국소적 망막박리가 생기며 후극부까지 진행되는 경우는 드물다. | |||
{{참고}} | {{참고}} | ||
[[분류:망막]] | [[분류:망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