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망막 층간분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8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7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퇴행성 망막 층간분리 (degenerative retinoschisis)''' 는 노년 층간분리 (senile (acquired) retinoschisis) 라고도 불리우는 원인 불명의 주변부 망막 질환으로, 주변부에 망막의 층간분리가 일어나며 얇고 매끄러운 망막 융기를 보인다.  
'''퇴행성 망막 층간분리 (degenerative retinoschisis)'''{{망막}} 는 노년 층간분리 (senile (acquired) retinoschisis) 라고도 불리우는 원인 불명의 주변부 망막 질환으로, 주변부에 망막의 층간분리가 일어나며 얇고 매끄러운 망막 융기를 보인다.  
== 역학 ==
== 역학 ==
50세 이상에서 주로 발생하며 이 연령 인구의 1~4%에서 발생한다. 양안성이며,하이측 (70%) 과 상이측 (30%) 에 주로 위치한다. 성별의 차이, 나이 증가에 따라 발병률 등에 차이는 없으며 망막박리와는 다르게 원시와 연관성이 있다.
50세 이상에서 주로 발생하며 이 연령 인구의 1~4%에서 발생한다. 양안성이며,하이측 (70%) 과 상이측 (30%) 에 주로 위치한다. 성별의 차이, 나이 증가에 따라 발병률 등에 차이는 없으며 망막박리와는 다르게 원시와 연관성이 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층간분리 범위에 해당하는 영역에 암점 등이 시야 검사에서 발견되기는 하나, 장기 관찰에서 층간분리 자체는 대부분 환자들에게 증상 발생이나 치료가 필요 없으며, 크기가 증가하거나 후극부로 심하게 침범되는 경우 및 시력저하를 야기하는 진행성의 망막박리로 진행하는 경우 등도 드물다. 후유리 체박리 또는 백내장 수술 등으로도 크게 변화가 없는 것을 통해 퇴행성 망막층간분리는 유리체 견인 등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 아니라 망막 자체의 문제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층간분리 범위에 해당하는 영역에 암점 등이 시야 검사에서 발견되기는 하나, 장기 관찰에서 층간분리 자체는 대부분 환자들에게 증상 발생이나 치료가 필요 없으며, 크기가 증가하거나 후극부로 심하게 침범되는 경우 및 시력저하를 야기하는 진행성의 망막박리로 진행하는 경우 등도 드물다. 후유리 체박리 또는 백내장 수술 등으로도 크게 변화가 없는 것을 통해 퇴행성 망막층간분리는 유리체 견인 등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 아니라 망막 자체의 문제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
{{참고}}
[[분류:망막]]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