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방법) |
잔글 (→결과)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뭉툭한 26G 바늘이나 관류용 바늘을 식염수를 채운 5ml 주사기에 끼워 눈물소관 내로 삽입한 후 식염수를 주입하여 코나 목 뒤로 넘어가는지 보면 된다. | 뭉툭한 26G 바늘이나 관류용 바늘을 식염수를 채운 5ml 주사기에 끼워 눈물소관 내로 삽입한 후 식염수를 주입하여 코나 목 뒤로 넘어가는지 보면 된다. | ||
== | == 해석 == | ||
* 반대쪽 눈물점으로 역류 : <span style='color:blue;'>코눈물관이나 눈물주머니에 완전 폐쇄</span>가 있음을 나타낸다. 역류되어 있는 식염수는 깨끗할 수도 있고 고름이 섞여 있을 수도 있는데, 이로써 눈물주머니나 코눈물관에 폐쇄가 있음을 진단할 수 있다. | * 반대쪽 눈물점으로 역류 : <span style='color:blue;'>코눈물관이나 눈물주머니에 완전 폐쇄</span>가 있음을 나타낸다. 역류되어 있는 식염수는 깨끗할 수도 있고 고름이 섞여 있을 수도 있는데, 이로써 눈물주머니나 코눈물관에 폐쇄가 있음을 진단할 수 있다. | ||
* 코로 물이 나오면 : 눈물길의 완전 폐쇄가 아니라는 것은 알 수 있지만 <span style='color:blue;'>불완전 폐쇄나 기능성 폐쇄의 가능성까지 배제할 수는 없다</span>. | * 코로 물이 나오면 : 눈물길의 완전 폐쇄가 아니라는 것은 알 수 있지만 <span style='color:blue;'>불완전 폐쇄나 기능성 폐쇄의 가능성까지 배제할 수는 없다</span>. | ||
* 다른 눈물점으로 역류되지 않고 검사하는 눈물점으로만 역류 : 그 눈물소관의 폐쇄를 의미한다. | * 다른 눈물점으로 역류되지 않고 검사하는 눈물점으로만 역류 : 그 눈물소관의 폐쇄를 의미한다. | ||
== 단점 == | == 단점 == | ||
좁은 눈물점으로 눈물소관 캐뉼라 (lacrimal cannula) 를 삽입하여 관류 상태를 파악해야 하는 다소 침습적인 검사이기에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검사의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ref>Beigi B et al. Inaccuracy of diagnosis in a cohort of patients on the waiting list for DCR when the diagnosis was made by only syringing the lacrimal system. ''Eur J Ophthalmol''. 2007 Jul-Aug;17(4):485-9. [https://pubmed.ncbi.nlm.nih.gov/17671919/ 연결]</ref><ref>Kim S et al. Correlation Between Lacrimal Syringing Test and DSG in Patients w Epiphora. ''J Craniofac Surg''. 2020 Jul-Aug;31(5):e442-e445. [https://pubmed.ncbi.nlm.nih.gov/32282674/ 연결]</ref>, 환자의 협조 정도가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ref>Cuthbertson FM et al. Assessment of fNLDO : a survey of ophthalmologists in the southwest. ''Eye (Lond)''. 2004 Jan;18(1):20-3. [https://pubmed.ncbi.nlm.nih.gov/14707959/ 연결]</ref>. | 좁은 눈물점으로 눈물소관 캐뉼라 (lacrimal cannula) 를 삽입하여 관류 상태를 파악해야 하는 다소 침습적인 검사이기에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검사의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ref>Beigi B et al. Inaccuracy of diagnosis in a cohort of patients on the waiting list for DCR when the diagnosis was made by only syringing the lacrimal system. ''Eur J Ophthalmol''. 2007 Jul-Aug;17(4):485-9. [https://pubmed.ncbi.nlm.nih.gov/17671919/ 연결]</ref><ref>Kim S et al. Correlation Between Lacrimal Syringing Test and DSG in Patients w Epiphora. ''J Craniofac Surg''. 2020 Jul-Aug;31(5):e442-e445. [https://pubmed.ncbi.nlm.nih.gov/32282674/ 연결]</ref>, 환자의 협조 정도가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ref>Cuthbertson FM et al. Assessment of fNLDO : a survey of ophthalmologists in the southwest. ''Eye (Lond)''. 2004 Jan;18(1):20-3. [https://pubmed.ncbi.nlm.nih.gov/14707959/ 연결]</ref>. | ||
{{참고}} | {{참고}} | ||
[[분류:성형안과]] | [[분류:성형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