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교정 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890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8일 (월)
잔글
잔글 (→‎기전)
 
10번째 줄: 10번째 줄:
1998년 Tom Reim 등에 의해서 근시 -4.0~-6.0 D, 직난시 -2.0 D, 도난시 -0.75 D 까지 교정이 가능한 4-5 curved OK lens 가 개발되어 현재까지 사용되어지고 있다. 현재 국산 루시드 코리아 사의 렌즈, 미국 Contex, Dreim, Vipok, Euclid 사 등의 렌즈가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1998년 Tom Reim 등에 의해서 근시 -4.0~-6.0 D, 직난시 -2.0 D, 도난시 -0.75 D 까지 교정이 가능한 4-5 curved OK lens 가 개발되어 현재까지 사용되어지고 있다. 현재 국산 루시드 코리아 사의 렌즈, 미국 Contex, Dreim, Vipok, Euclid 사 등의 렌즈가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 기전 ==
== 기전 ==
렌즈 중심부의 곡률이 각막 중심 부분의 곡률보다 편평하여 렌즈가 각막을 압박함으로써 망막 주변부의 근시성 탈초점화를 유발하여 안축장의 확장을 지연시켜 근시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ref>Queirós A et al. Peripheral refraction in myopic patients after OK. ''Optom Vis Sci''. 2010 May;87(5):323-9. [https://pubmed.ncbi.nlm.nih.gov/20375751/ 연결]</ref><ref>Kang P et al. Peripheral refraction in myopic children wearing OK and RGP lenses. ''Optom Vis Sci''. 2011 Apr;88(4):476-82. [https://pubmed.ncbi.nlm.nih.gov/21317669/ 연결]</ref>, 현재 근시의 비약물적 억제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ref>Cho P et al. Myopia and OK for myopia control. ''Clin Exp Optom''. 2019 Jul;102(4):364-377. [https://pubmed.ncbi.nlm.nih.gov/30380591/ 연결]</ref>.
기전과 결과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들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중심 각막의 얇아짐 (central corneal thinning) 과 중간주변부의 두꺼워짐 (midperiphery thickening) 이다<ref>Swarbrick HA. OK review and update. ''Clin Exp Optom''. 2006 May;89(3):124-43. [https://pubmed.ncbi.nlm.nih.gov/16637967/ 연결]</ref>. 많은 역기하 렌즈의 연구들에서 각막 구조의 변화는 각막의 중심 얇아짐과 중간 주변부의 깊어짐을 야기하는 주된 요소라고 하였다<ref>Swarbrick HA et al. Corneal response to OK. Optom Vis Sci. 1998 Nov;75(11):791-9. [https://pubmed.ncbi.nlm.nih.gov/9848832/ 연결]</ref>. 또 다른 연구에서는 각막 기질의 두꺼워짐이 주된 역할을 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각막 지형도 상에서 초기에 일차적인 요인이 아니라 생각되었다.
기전과 결과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들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중심 각막의 얇아짐 (central corneal thinning) 과 중간주변부의 두꺼워짐 (midperiphery thickening) 이다<ref>Swarbrick HA. OK review and update. ''Clin Exp Optom''. 2006 May;89(3):124-43. [https://pubmed.ncbi.nlm.nih.gov/16637967/ 연결]</ref>. 많은 역기하 렌즈의 연구들에서 각막 구조의 변화는 각막의 중심 얇아짐과 중간 주변부의 깊어짐을 야기하는 주된 요소라고 하였다<ref>Swarbrick HA et al. Corneal response to OK. Optom Vis Sci. 1998 Nov;75(11):791-9. [https://pubmed.ncbi.nlm.nih.gov/9848832/ 연결]</ref>. 또 다른 연구에서는 각막 기질의 두꺼워짐이 주된 역할을 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각막 지형도 상에서 초기에 일차적인 요인이 아니라 생각되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