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맥 폐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39 바이트 제거됨 ,  2022년 4월 18일 (월)
잔글
잔글 (→‎역학)
잔글 (→‎역학)
1번째 줄: 1번째 줄:
'''안동맥 폐쇄 (ophthalmic artery occlusion, OAO)'''{{망막}}
'''안동맥 폐쇄 (ophthalmic artery occlusion, OAO)'''{{망막}}
== 역학 ==
== 역학 ==
굉장히 드물며, 미용 목적의 안면부 필러 주입 후 발생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젊은 성인에서는 안동맥 폐쇄가 드물게 발생하며, 한국의 [[중심 망막동맥 폐쇄]] (CRAO) 유병률에 대한 연구에서 30~34세의 여자 100,000명당 유병률은 0.45 (신뢰구간 0.30-0.60) 로 매우 낮았다. 안동맥 폐쇄는 혈관염이나 과응고성을 가지는 50세 미만의 젊은 성인이나 혈전 발생의 위험을 가진 50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주로 발생한다. 40세 미만의 젊은 환자에서는 CRAO나 안동맥 폐쇄가 드물며, 보통 전신 질환이 그 원인인 경우가 많다.
굉장히 드물며, 미용 목적의 안면부 필러 주입 후 발생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젊은 성인에서는 OAO가 드물게 발생하며, 한국의 [[망막 중심동맥 폐쇄]] (CRAO) 유병률에 대한 연구에서 30~34세의 여자 100,000명당 유병률은 0.45 (신뢰구간 0.30-0.60) 로 매우 낮았다. OAO는 혈관염이나 과응고성을 가지는 50세 미만의 젊은 성인이나 혈전 발생의 위험을 가진 50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주로 발생한다. 40세 미만의 젊은 환자에서는 CRAO나 OAO가 드물며, 보통 전신 질환이 그 원인인 경우가 많다.


== 원인 ==
== 원인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