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임상 소견)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증상 == | == 증상 == | ||
보통 장기간의 이물감이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며, 그 외 증상으로는 눈부심, 통증, 눈물, 간헐적으로 뿌옇게 보이는 증상이 있다. | 보통 장기간의 이물감이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며, 그 외 증상으로는 눈부심, 통증, 눈물, 간헐적으로 뿌옇게 보이는 증상이 있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ref>Nagra PK et al. Thygeson's superficial punctate keratitis : 10y experience. ''Ophthalmology''. 2004 Jan;111(1):34-7. [https://pubmed.ncbi.nlm.nih.gov/14711711/ 연결]</ref> == | ||
결막은 약간 충혈되거나 완전히 정상일 수 있고, 전형적인 소견은 <span style='color:blue;'>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군집한 점상의 상피내 침착물이 수많은 미세한 과립상의 회백색 점상 혼탁</span>을 이룬다. 혼탁 양상을 입체적으로 살펴보면 상피 표면을 뚫고 중심부가 솟아올라 있고, 간혹 머리카락 모양의 실모양체가 보인다. 각막 병변은 경계가 별 모양으로 생겨 단순포진 감염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있다. 약한 상피와 상피하 부종이 염증 침범 없이 혼탁과 동반되는 경우가 있는데, 혼탁은 점차 옅어지고 이동하여 중심부 각막과 시축에 주로 생기게 된다. 평균적으로 15~20개 정도의 각막 병변이 생긴다. | 결막은 약간 충혈되거나 완전히 정상일 수 있고, 전형적인 소견은 <span style='color:blue;'>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군집한 점상의 상피내 침착물이 수많은 미세한 과립상의 회백색 점상 혼탁</span>을 이룬다. 혼탁 양상을 입체적으로 살펴보면 상피 표면을 뚫고 중심부가 솟아올라 있고, 간혹 머리카락 모양의 실모양체가 보인다. 각막 병변은 경계가 별 모양으로 생겨 단순포진 감염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있다. 약한 상피와 상피하 부종이 염증 침범 없이 혼탁과 동반되는 경우가 있는데, 혼탁은 점차 옅어지고 이동하여 중심부 각막과 시축에 주로 생기게 된다. 평균적으로 15~20개 정도의 각막 병변이 생긴다.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 ||
초진 시 전형적인 상피내 침착물이 관찰되지 않더라도 재발 각막염의 병력이 있고 다른 각막 질환이 없으며 점안 스테로이드제에 반응하는 비전형적인 상피 병변 소견일 경우 의심할 수 있다. | 초진 시 전형적인 상피내 침착물이 관찰되지 않더라도 재발 각막염의 병력이 있고 다른 각막 질환이 없으며 점안 스테로이드제에 반응하는 비전형적인 상피 병변 소견일 경우 의심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