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막-공막 유출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25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b>포도막-공막 유출로 (uveoscleral outflow)</b> 은 전방각에 있는 홍채 뿌리와 섬모체를 통하여 공막 바깥으로 유출되는 방수로를 말한다. == 역...)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포도막-공막 유출로 (uveoscleral outflow)</b> 은 전방각에 있는 홍채 뿌리와 섬모체를 통하여 공막 바깥으로 유출되는 방수로를 말한다.
'''포도막-공막 유출로 (uveoscleral outflow)'''{{녹내장}} 은 전방각에 있는 홍채 뿌리와 섬모체를 통하여 공막 바깥으로 유출되는 방수로를 말한다.
== 역학 ==
== 역학 ==
방수 유출량은 동물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토끼는 전체 방수 유출량의 3% 정도로 매우 적으며 원숭이는 종류에 따라서 50%까지 된다. <span style='color:blue;'>사람은 5~30%</span> 정도이다.
방수 유출량은 동물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토끼는 전체 방수 유출량의 3% 정도로 매우 적으며 원숭이는 종류에 따라서 50%까지 된다. <span style='color:blue;'>사람은 5~30%</span> 정도이다.
6번째 줄: 6번째 줄:
== 유출에 영향을 주는 인자 ==
== 유출에 영향을 주는 인자 ==
맥락막위 공간과 섬모체위 공간 속의 압력은 전방의 압력보다 낮다. 이 압력 차이로 전방의 방수가 이들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안압과 관계가 없다. <span style='color:blue;'>안압이 상공막정맥압보다 낮을 때는 안압 상승에 따라서 유출량이 증가하나 그 이상이 되면 증가하지 않는데</span>, 이는 안압 상승으로 섬모체 근섬유 다발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기 때문이라고 여겨지고 있다.<br />포도막-공막 유출로를 통한 방수 유출의 정도는 공막의 투과성보다 <span style='color:blue;'>섬모체 근육의 긴장도에 달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span>. 섬모체 근육이 긴장하면 전방각저에서 섬모체근 섬유 다발들 사이의 틈새로 방수가 들어가지 못한다. 섬모체근을 수축시키는 pilocarpine은 이 경로를 통한 방수 유출을 줄이고 atropine은 증가시킨다. 섬모체 해리술로 공막 돌기에서 섬모체를 분리하면 방수의 포도막-공막 유출이 증가한다.
맥락막위 공간과 섬모체위 공간 속의 압력은 전방의 압력보다 낮다. 이 압력 차이로 전방의 방수가 이들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안압과 관계가 없다. <span style='color:blue;'>안압이 상공막정맥압보다 낮을 때는 안압 상승에 따라서 유출량이 증가하나 그 이상이 되면 증가하지 않는데</span>, 이는 안압 상승으로 섬모체 근섬유 다발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기 때문이라고 여겨지고 있다.<br />포도막-공막 유출로를 통한 방수 유출의 정도는 공막의 투과성보다 <span style='color:blue;'>섬모체 근육의 긴장도에 달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span>. 섬모체 근육이 긴장하면 전방각저에서 섬모체근 섬유 다발들 사이의 틈새로 방수가 들어가지 못한다. 섬모체근을 수축시키는 pilocarpine은 이 경로를 통한 방수 유출을 줄이고 atropine은 증가시킨다. 섬모체 해리술로 공막 돌기에서 섬모체를 분리하면 방수의 포도막-공막 유출이 증가한다.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