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방수의 유출)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방수의 성분 == | == 방수의 성분 == | ||
전방과 후방의 방수는 모두 혈장에 비해 약간 <span style='color:blue;'>고장성</span>이며 전방의 <span style='color:blue;'>pH는 7.2</span>이다. 방수의 두 가지 가장 뚜렷한 특징은 동맥혈 혈장보다 <span style='color:blue;'>ascorbate가 20~30배 농도가 높고 단백질이 혈장보다 매우 적은 비율</span>(0.02%)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 전방과 후방의 방수는 모두 혈장에 비해 약간 <span style='color:blue;'>고장성</span>이며 전방의 <span style='color:blue;'>pH는 7.2</span>이다. 방수의 두 가지 가장 뚜렷한 특징은 동맥혈 혈장보다 <span style='color:blue;'>ascorbate가 20~30배 농도가 높고 단백질이 혈장보다 매우 적은 비율</span>(0.02%)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 ||
== | == 유출 == | ||
* [[섬유주-쉴렘관 유출로]] : 정상적인 상태의 눈에서 대부분 (70~95%) 의 방수는 섬유주, 쉴렘관, 집결로 그리고 상공막 정맥과 결막 정맥으로 구성되는 이 경로로 전방각을 통해 눈으로부터 빠져나간다. | * [[섬유주-쉴렘관 유출로]] : 정상적인 상태의 눈에서 대부분 (70~95%) 의 방수는 섬유주, 쉴렘관, 집결로 그리고 상공막 정맥과 결막 정맥으로 구성되는 이 경로로 전방각을 통해 눈으로부터 빠져나간다. | ||
* [[포도막-공막 유출로]] : 나머지 5~30%는 부분적이라고 알려진 이 계통을 통해 빠져 나간다. | * [[포도막-공막 유출로]] : 나머지 5~30%는 부분적이라고 알려진 이 계통을 통해 빠져 나간다. | ||
이 모든 유출로의 입구는 전방의 주변부인 전방각에 있다. | 이 모든 유출로의 입구는 전방의 주변부인 전방각에 있다. | ||
* 각막 경유 : 약간의 방수는 전방으로부터 각막을 통과하여 눈물막으로 빠져 나간다. 이 통로를 이용해 배출되는 방수는 각막의 높은 수압 저항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 |||
여러 학자들이 방수가 후방에서 유리체로 들어가서 밝혀지지 않은 통로를 통해 눈으로부터 빠져 나간다는 '홍채후 통로'를 주장했으나 이 통로의 존재는 확실하지 않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