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 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46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29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알레르기 결막염 (allergic conjunctivitis)</b>
'''알레르기 결막염 (allergic conjunctivitis)'''{{각막}}
== 역학 ==
== 역학 ==
선진국의 알레르기 발병률은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노출 감소, 유전적 영향, 산업화, 공해 등의 영향으로 지난 수십년 동안 점차 증가해왔다. 아시아, 태평양 연해, 아프리카, 남미 지역 인구의 30~50%가 알레르기 질환이 있으며, 이 중 40~60%에서 눈에 증상이 발현된다.
선진국의 알레르기 발병률은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노출 감소, 유전적 영향, 산업화, 공해 등의 영향으로 지난 수십년 동안 점차 증가해왔다. 아시아, 태평양 연해, 아프리카, 남미 지역 인구의 30~50%가 알레르기 질환이 있으며, 이 중 40~60%에서 눈에 증상이 발현된다<ref>Palmares J et al; Season Study Group. Allergic conjunctivitis : a national cross-sectional study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QoL. ''Eur J Ophthalmol''. 2010 Mar-Apr;20(2):257-64. [https://pubmed.ncbi.nlm.nih.gov/20037906/ 연결]</ref>.
== 분류 ==
== 분류 ==
* [[계절 알레르기 결막염]] : 가장 흔한 형태의 눈 알레르기 질환으로, 특징적인 알레르기 비염을 동반하며 식물에서 유래된 공기 매개 알레르기 항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 [[계절 알레르기 결막염]] : 가장 흔한 형태의 눈 알레르기 질환으로, 특징적인 알레르기 비염을 동반하며 식물에서 유래된 공기 매개 알레르기 항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9번째 줄: 9번째 줄:
* 거대 유두 결막염 : 가역적 질환으로 대부분 콘택트렌즈 착용, 노출된 봉합사나 안내 인공삽입물과 연관 있으며, 전형적인 알레르기 기전보다는 만성적이고 지속적인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인해 나타난다.
* 거대 유두 결막염 : 가역적 질환으로 대부분 콘택트렌즈 착용, 노출된 봉합사나 안내 인공삽입물과 연관 있으며, 전형적인 알레르기 기전보다는 만성적이고 지속적인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인해 나타난다.
* [[접촉 피부 결막염]] : 점안 치료제나 점안약에 포함된 보존제에 대한 노출 후 과민반응으로 인해 주로 발생한다.
* [[접촉 피부 결막염]] : 점안 치료제나 점안약에 포함된 보존제에 대한 노출 후 과민반응으로 인해 주로 발생한다.
{{참고|각막}}
{{참고}}

둘러보기 메뉴